지난해 취업자 증가폭이 2023년과 비교해 절반에도 못 미쳤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덮쳤던 2020년 이후 최악의 성적표다.

정부가 불과 보름 전에 전망한 수치보다도 1만명 이상 적었다.

건설, 도소매 등 내수 위주로 일자리 충격이 컸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취업자 수는 2857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15만9000명 증가했다.

2023년 취업자 증가폭은 32만7000명이었다.

정부는 지난해 초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할 때 이를 17만명으로 전망한 바 있다.

정부 전망이 크게 빗나간 셈이다.


조성중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장은 "하반기 건설업 부진이 예상보다 심해지고, 전반적인 경기 회복세도 둔화하면서 전체 취업자 수 증가폭이 당초 정부 전망보다 낮아졌다"고 진단했다.


건설, 소비 등 내수 부진이 일자리에 큰 충격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도매·소매업 취업자는 6만1000명 감소했다.

사업시설관리와 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 취업자도 5만2000명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 수도 4만9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중 지속된 내수 침체는 특히 비상계엄과 탄핵 등 정치 불확실성이 커진 12월에 고용한파를 불러왔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5만2000명 감소했다.

2021년 2월 이후 46개월 만에 처음이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7만1000명 증가했는데, 이 역시 46개월 만에 최대치다.

실업률도 지난해 11월에는 2.7%였지만 12월에는 3.7%로 한 달 만에 1%포인트 급등했다.

정치 불안으로 연말 소비심리가 크게 꺾인 탓으로 보인다.


조 과장은 그러나 "속보성 지표를 봤을 때 작년 12월 3주 차에 소비가 저점을 찍은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1월에는 소비가 올라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작년 고용동향에서는 청년층과 고령층 간 일자리 양극화가 뚜렷했다.

15~29세 취업자는 전년과 비교해 14만4000명 줄었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26만6000명 증가했다.

고령층 인구 증가 효과도 있지만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20·30대 '쉬었음' 인구 증가도 눈길을 끈다.

쉬었음은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질병 등의 이유 없이 그냥 쉬고 있는 사람들이다.

지난해 20대와 30대 쉬었음 인구는 각각 1만8000명, 2만9000명 늘었다.


올해도 고용시장 한파는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우선 경기 전망이 어둡다.

정부는 올해 성장률 전망을 1.8%로 제시했다.

작년 성장률 전망치가 2.1%인데 이보다 낮다.

이에 따라 정부가 제시한 취업자 수 증가폭은 12만명이다.

작년 증가폭보다 3만9000명 적다.

정부는 이마저도 자신하지 못하는 눈치다.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