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비틀’ OPEC+ 회의 연기…중국 경제 압박 속 이상 기류 감지

OPEC+ 내년 1월 증산 실행 앞두고
산유량 결정 회의 내달 5일로 연기

‘세계 최대 수입국’ 중국 수요 압박
S&P “내년 중국 4.1% 성장 그쳐”
국제 유가, 올해 7월 이후 16% 하락

美트럼프 2기 석유 증산 속도 낼 듯
월가에선 내년 유가 70달러선 전망

OPEC+ 을 이끄는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수장들.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사우디 왕세자(왼쪽)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웃는 모습 /출처=사우디 왕세자 X 계정
글로벌 경제 둔화 전망을 타고 국제 유가가 배럴 당 70달러선으로 떨어진 가운데 OPEC+(석유수출국기구와 러시아·멕시코 등 비회원 주요 산유국)가 산유량 결정 회의를 나흘 뒤로 연기했다.


투자 업계에서는 내부적으로 이상 기류가 커졌을 가능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중국 견제에 나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 측은 ‘세계 최대 석유 매장국’ 베네수엘라 측과 원유 증산 지원을 골자로 한 협상에 나설 수도 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공급 측면 변수가 더 복잡해지는 모양새다.


28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OPEC+는 다음 달 1일 열려던 산유량 결정 온라인 회의를 나흘 뒤인 12월 5일로 미뤘다.


이번 회의는 관련 산유국들이 내년 1월부터 하루 18만배럴씩 원유 생산량을 늘릴 지 여부를 결정하는 자리다.


앞서 OPEC+ 은 작년 2022년 합의를 바탕으로 하루 586만배럴씩 감산한다는 기조를 이어왔고, 올해 10월 들어서 18만배럴씩 다시 증산함으로써 감산 기조를 완화할 방침이었지만, 유가 하락세가 이어지자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올해 말까지는 증산하지 않고 내년 1월부터 증산하기로 의견을 모은 바 있다.


올해 1월 부터 이달 28일(현지시간) 기준 브렌트 원유 선물 시세 흐름 /출처=런던ICE거래소
같은 날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는 브렌트유 1월물 시세가 전날보다 0.62% 올라 73.28 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는 현지 추수감사절을 기념해 휴장했다.


이날 유가가 오른 것은 OPEC+ 회의가 미뤄진 것을 계기로 감산 기조 연장 가능성이 고개 든 영향이다.


OPEC+ 측은 회의 연기 이유에 대해 애초 회의를 열려던 12월 1일에 주요 산유국들이 쿠웨이트에서 열리는 걸프협력회의에 참석해야 하기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다만 블룸버그 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OPEC+ 를 이끄는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관계자가 이번 주 이라크와 카자흐스탄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라크와 카자흐스탄은 OPEC+ 차원에서 약속한 할당량보다 원유를 더 많이 생산해온 대표적인 나라다.


국제 유가는 난방 수요가 많은 겨울을 앞뒀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7월 이후 16% 가량 떨어진 상태다.


지난 7월은 이스라엘이 이란이 후원하는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공세를 퍼붓는 과정에서 하마스 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를 이란 수도 테헤란 인근에서 암살한 것을 계기로 이스라엘과 이란 간 전면 충돌 구도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때다.


월가 주요 투자은행들은 내년에는 원유 재고가 늘어나면서 유가가 80달러를 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JP모건은 브렌트유와 미국 서부텍사스유(WTI)가 내년에는 각각 73달러, 64달러일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브렌트유가 76달러일 것으로 내다봤으며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브렌트유가 내년 하반기에 평균 74달러일 것으로 예상했다.


출처=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 트루스소셜 계정
국제 유가는 수요·공급 측면에서 모두 변수가 복잡하게 꼬인 상태다.


‘세계 최대 석유 수입국’ 중국 등 아시아 지역 수요 둔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유가 떠받치기 필요성이 부각됐지만, 일부 산유국들이 증산을 통한 원유 수출 확대를 희망하는 데다 미국발 변수도 추가됐다.


수요 측면을 보면, 올해 3~4분기 중국이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내면서 단기적으로 수요가 살아나고 있지만 내년 성장 전망이 좋지 않다는 점이 유가 발목을 붙잡는 요인이다.


시장정보업체 LSEG 오일리서치 집계에 따르면 이달 아시아 지역 원유 수입량은 중국 수요 회복에 힘입어 하루 2642만 배럴을 기록했다.

이전인 10월(2611만 배럴)과 9월(2624만 배럴)보다 늘어난 규모다.


다만 LSEG 측은 올해 한 해를 통틀어 보면 아시아 원유 수입량이 작년보다 줄었을 것으로 추산한다.

아시아 지역은 중동 산유국 최대 고객으로 통한다.


내년 이후로는 중국 경제 부진이 수요 측면 최대 변수다.


앞서 25일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글로벌레이팅스는 ‘2025년 1분기 아시아·태평양 전망’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내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4.1%, 2026년 증가율을 3.8%로 각각 제시했다.


앞서 9월에 제시한 기존 전망치보다 각각 0.2%포인트(p), 0.7%p 내려간 수준이다.


S&P측은 “중국 경제 변수는 경기 부양책 효과와 미국의 무역 정책”이라면서 “중국의 경기부양책은 미국의 무역 관세로 인해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급 측면에서는 베네수엘라 증산 가능성이 다시 부각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석유 업계와 투자자들이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에게 베네수엘라와 협상에 나서도록 촉구에 나섰다고 28일 전했다.


업계는 베네수엘라와 협력해 일대 석유 증산에 나섬으로써 베네수엘라 경제를 지원하는 대신 베네수엘라 난민들이 미국으로 향하는 것을 사전에 막아달라는 취지의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조 바이든 미국 정부는 미국 재무부가 허가한 경우 미국 석유 기업들이 베네수엘라에서 생산한 원유를 미국에 들여올 수록 하고 있는데 이를 확대함으로써 미국은 에너지 가격을 낮추고 난민을 줄이는 한편 베네수엘라는 경제 숨통을 틀 수 있다는 논리다.


미국 내에는 베네수엘라 출신 난만이 80만명 가량 체류 중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독재 정권의 경제 정책 실패와 부정 부패, 인권 침해로 인해 800만 여명이 나라를 탈출한 여파다.


이밖에 미국 석유업계는 베네수엘라와의 협상을 통해 중국이 미국 제재를 받는 베네수엘라산 원유를 저가에 대량 구매하는 것을 견제하는 효과도 노려볼 수 있다는 점을 들어 트럼프 당선자 측에 협상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당선자는 미국 3대 에너지 정책 관련 요직인 국가에너지회의 의장과 에너지부 장관, 환경보호청(EPA) 청장에 모두 석유업계 관련자를 지명함으로써 미국 석유·가스 산업 부흥 의지를 강조해왔다.


이는 OPEC+ 으로서는 위협 요인이다.


국가에너지회의 의장으로 지명된 더그 버검은 노스다코타 주지사라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노스다코타는 텍사스, 뉴멕시코와 더불어 미국 내 석유 매장·생산량 3위 지역으로 꼽힌다.


한편 에너지부 장관에 지명된 크리스 라이트는 석유재벌로 미국 2위 수압 파쇄(fracking·프래킹) 전문 기업 리버티에너지 최고경영자(CEO)다.

수압 파쇄는 셰일 오일·가스 채취를 위한 필수 기술이다.


EPA 청장으로 지명된 리 젤딘 전 하원 의원은 석유·가스 시추를 옹호하는 친환경 반대론자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