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 반도체 기업을 겨냥한 첨단 기술 수출 통제에 국내 기업이 적극 동참해줄 것을 요구했다.


미국 상무부 고위 당국자가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요한 핵심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중국이 아닌 미국과 미국의 동맹에 공급해야 한다고 밝혔다.


앨런 에스테베즈 상무부 산업안보차관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경제안보 콘퍼런스에서 "새로운 전장의 승패는 우리가 오늘 개발하는 기술이 좌우할 것"이라면서 중국이 미국과 동맹의 안보를 위협하는 첨단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AI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들어가는 HBM을 언급한 에스테베즈 차관은 "세계에 HBM을 만드는 기업이 3개 있는데, 그중 2개가 한국 기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HBM 역량을 우리 자신과 동맹의 필요를 위해 개발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 부분에서 한국과의 협력에 감사한다"고 덧붙였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만든 고성능 메모리다.

AI 가속기를 가동하는 데 필요하다.

세계 HBM 시장은 SK하이닉스삼성전자, 마이크론이 장악하고 있다.

미국은 HBM의 중국 수출을 통제하고자 한국 등 동맹과 협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HBM 수출 통제와 관련해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이 아직 아무것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우리가 뭐라고 얘기할 수가 없다"며 "관련 당국 간에는 어쨌든 그런 이슈에 대해 미국은 우리한테 협의를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경제안보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의 지지와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경제안보 조치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미국과의 수출 통제와 기술 안보 협력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반도체업계에선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면서도 미국의 대중 수출 통제 조치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중국에 HBM을 직접 수출하는 사례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엔비디아가 중국에 수출하는 AI 가속기에는 삼성전자가 HBM3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애초에 중국향 HBM 물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수출 통제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이 심화하며 HBM을 비롯한 차세대 반도체 시장 자체가 위축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에스테베즈 차관은 다른 품목에서도 한국이 수출 통제에 참여해 달라고 호소했다.

대상 품목으로는 "소프트웨어 생태계와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차량의 동력 체계를 관리하는 부품"을 언급했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서울 성승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