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상승세가 1년째 이어지고 있다.

갭투자(전세를 끼고 집을 매수하는 수요)가 늘면서 거래량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19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3.9%로, 표본 개편이 있던 2022년 11월(53.9%) 이후 1년8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금리가 인상된 이후 전셋값이 급락하고 역전세난이 심화하면서 지난해 4월 50.8%까지 하락한 바 있다.


그러나 이후 전셋값 상승과 함께 매매가도 오르며 지난해 7월(50.9%)부터 지난달까지 1년째 오르고 있다.

최근 전세가율이 오르는 것은 매매가격 상승폭보다 전셋값 상승폭이 더 크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아파트 전세 실거래가격지수도 129.6(올해 5월)을 기록해 과거 최고치였던 127.9(2022년 9월)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KB국민은행 시세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누적 0.02% 오르는 동안 전셋값은 3.79% 상승했다.


자치구별로는 강북구 전세가율이 62.0%로 가장 높았고, 중랑구(61.6%), 금천구(61.4%), 성북구(61.0%), 관악구(60.4%), 은평구(60.2%) 등이 뒤를 이었다.

고가 아파트가 많은 강남 3구의 전세가율이 50%를 밑도는 것과 비교된다.


같은 기간 한국부동산원 조사에서도 서울 아파트값은 1.75% 상승했지만, 전셋값은 3.10% 뛰었다.


일각에서는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이 상승하면서 갭투자 수요가 늘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다만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갭투자 비중은 2019년 6월 당시 최고 27%에 달했지만, 지난해와 올해 초엔 10% 전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않는 전세보증사고는 올해 7월까지 3조원 규모로 발생했다.

이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사고액은 3조818억원, 사고 건수는 1만4250건이다.

월별로는 2월 6489억원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4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6월 3366억원에서 7월 4227억원으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윤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