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초산모 대상 빅데이터 연구
결과 종합하면 ‘30대 초반’ 임신 최적기

첫 아이를 낳는 적정 시기는 ‘30대 초반’이라는 연구 결과가 대한산부인과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보다 나이가 많으면 임신성 고혈압(임신중독증)이나 당뇨, 전치태반 등 각종 위험이 뒤따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오수영·성지희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2005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15년간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토대로 첫 아이를 낳아 엄마가 된 368만5817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PACEN),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팀은 산모를 나이에 따라 총 6개 그룹으로 나눴다.

25세 미만(15만3818명), 25~29세(84만5355명), 30~34세(173만8299명), 35~39세(78만7530명), 40~44세(15만1519명), 44세 초과(9296명) 등이다.


연구 결과 첫 아이를 낳아 엄마가 되는 시기가 늦춰지면서 그에 따른 임신 합병증 위험도 덩달아 커졌다.

초산모 연령 증가에 따라 임신성 고혈압 발생률과 제왕절개 수술률도 비례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임신성 고혈압 발생률은 25세 이하에는 2.5%였으나, 44세 이상에는 10.2%로 4배가량 높았다.

제왕절개 수술률도 25세 이하에서는 29.5%였으나 44세 이상에서는 74%로 큰 차이를 보였다.

조산 원인이자 분만 시 대량 출혈을 일으키는 전치태반 발생 역시 25~29세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35세 이상에서는 2배, 40세 이상에서는 3배가량 위험도가 증가했다.


실질적인 조산 위험도 높았다.

25~29세 기준으로 조산의 상대 위험도가 30~34세에서 7% 증가했으나 35~39세는 26%, 40~44세는 55%, 44세 이상은 85%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이를 종합해 연구팀은 첫 번째 임신의 최적 출산 연령을 30대 초반으로 꼽았다.

이 시기를 넘어서면 연령 증가에 따라 산모와 출생아의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강조했다.


오수영 교수는 “산모 연령 증가에 따른 조산과 장기 예후에 대한 영향은 최근 여성들이 선택하는 난자 동결과 같은 방법만으로는 대처가 어렵다는 것을 확인한 연구”라며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자궁 내 환경’이 중요하고 이는 토양과 같다.

임신 합병증뿐 아니라 출생아의 장기 예후도 산모 나이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만큼 적정 시기에 맞춰 출산할 수 있도록 부부가 함께 계획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출생아의 장기 예후에 관여하는 요소로 산모의 나이뿐 아니라 남편의 나이도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해외 연구에서 잘 알려진 부분이다.

국가 빅데이터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나이를 같이 분석할 수 없었던 것이 이 연구에서 아쉬운 점”이라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