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규모 모듈러주택 건축
세종시 산울동 건설현장 가보니

LH “모듈러주택 시장 확대 앞장”
2030년 年 5천가구 공급 목표

지난 4일 세종 산울동 6-3 UR1·2블록 민간참여 공공주택이 모듈러 공법으로 지어지고 있다.

이 단지는 모듈 575개가 쌓여 최고 7층, 416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사진출처=LH]

‘조립’에 가까운 건축이 한창이었다.

지난 4일 찾은 세종시 산울동 공공주택 건설현장의 첫인상이다.

현장에 도착하니 대형 트럭 위에 길이 11.3m, 폭 3.3m, 높이 3.1m에 달하는 거대한 네모 블록이 놓여있었다.

장난감 레고(Lego) 블록을 실사화한 듯한 이것은 ‘모듈’이라 불렸다.


대형크레인이 모듈을 4층 높이로 들어올리기 시작했다.

먼저 설치된 같은 모양의 모듈 바로 옆에 새 모듈이 끼워지기까지 채 10분도 걸리지 않았다.

이후 인부 2~3명이 모듈들을 연결하는 작업을 추가로 진행했다.

보통 건설 현장과 달리 자재를 싣고 나르는 인부들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공사소음이나 분진도 덜했다.


지난 4일 세종 산울동 6-3 UR1·2블록 민간참여 공공주택이 모듈러 공법으로 지어지고 있다.

이 단지는 모듈 575개가 쌓여 최고 7층, 416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사진출처=LH]

색다른 모습의 이곳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국내 최대 규모 ‘모듈러 주택’ 건설 현장이다.

모듈러 주택은 쉽게 말해 조립식 주택을 뜻한다.

공장에서 만들어진 모듈이 차곡차곡 쌓여 7층 높이 416가구 규모의 임대주택으로 변신하고 있었다.

층마다 모듈 30개 안팎이 서로 결합해 30㎡, 37㎡, 44㎡ 평형의 보금자리를 만들어냈다.

총 4개동으로 지어지는 이곳에는 모듈이 무려 575개나 쌓인다.

착공 이후 약 2년만인 오는 12월 완공 예정이다.


LH는 이날 ‘스마트건설 추진계획’ 기자설명회를 열고 “모듈러 주택 시장 확대와 대량생산 기반을 만드는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가구 수는 물론 최고 층수도 높여나가고 있다.

LH는 경기 의왕초평지구에 20층 높이, 381가구 규모의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도 추진할 계획이다.

지금까진 13층이 최고 층수였다.

이미 유럽과 미국에선 50층 이상 초고층 모듈러 공법이 발달한 만큼 뒤쳐져선 안 된다고 봤다.


모듈러 주택 내부 모습 [사진출처=LH]
LH는 내년까지 모듈러 주택을 1000가구 이상 공급할 방침이다.

2026년부터 4년 동안은 연간 3000가구를 건설하는 게 목표다.

2030년 이후에는 연간 5000가구 이상을 공급해 ‘규모의 경제’를 이루겠다고 밝혔다.

모듈은 많이 만들수록 생산 단가가 낮아지는데 아직은 수요처가 다양하지 않아 공공이 앞장서 발주량을 늘리겠단 것이다.


LH 관계자는 “모듈러 기술을 계속 발전시켜 2030년에는 공사기간을 절반으로 절감시키는 목표를 설정했다”고 말했다.

공사 기간 단축은 모듈러 주택의 최대 장점으로 꼽힌다.

외벽체, 창호, 배관 등을 포함한 개별 주거공간을 박스 형태로 공장에서 사전 제작해 현장으로 운송 후 설치하면 끝이기 때문이다.

현재 기술로는 기존 철근 콘크리트 공법 대비 공사기간을 약 30% 단축할 수 있다고 LH는 부연 설명했다.


[사진출처=LH]
기존 벽식 구조에 비해 층간소음도 덜한 편이다.

건설 노동자의 수급 불균형 문제도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다.

이한준 LH 사장은 “저는 모듈러 주택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 본다”며 “현재 건설 현장에서 노동자를 구하기가 굉장히 어렵다.

모듈러 주택은 확대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다만 조립하는 형태라 누수에 취약할 것이란 지적도 나왔다.

LH 관계자는 “이미 입주한 지 1~2년이 지난 주택을 대상으로 누수, 소음 등에 대해 만족도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올해 안에 구체적인 항목을 측정해서 발표하겠다.

보완할 부분이 있으면 보완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