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당진시, 합덕수리민속박물관 에너지 효율 개선
40㎾급 태양광 설비 옥상에 설치…단열재 보강 공사도

충남 당진시 합덕수리민속박물관.[자료= 충남도 ]
외부 전력 사용량 없이 태양광으로 에너지를 자체 생산·소비하는 ‘탄소중립 공공건물’이 충남 당진에 들어섰다.


충남도와 당진시는 최근 합덕수리민속박물관의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을 마무리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정부의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 계획’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2030년까지 공공 건물·차량 배출량을 2018년 배출량(10만6383t)의 40%(6만3830t) 수준으로 줄이고 2045년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다.


충남도와 당진시는 합덕수리민속박물관을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 첫 대상으로 선정하고, 전력을 자체 생산해 소비할 수 있는 40㎾급 고정형·건물일체형 태양광 설비를 옥상 등에 설치했다.

또 건물 외부 단열재 보강공사를 실시하고, 창호를 고성능으로 교체했으며, 냉난방공조와 공기순환기 등을 고효율 설비로 바꿨다.


이를 통해 합덕수리민속박물관은 지난달 한 달 동안 태양광으로 4290㎾h의 전력을 생산했다.

같은 기간 전력 사용량은 3264㎾h로, 100%를 훨씬 웃도는 에너지 자립율을 기록했다.


각종 고효율 설비 개선으로 건물의 에너지 절감 효과도 커졌다.


실제 지난 3월 합덕수리민속박물관의 전력 사용량은 6983㎾h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 1만446㎾h의 66.8%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에는 전년도 기록한 5543㎾h의 58.9%만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합덕수리민속박물관은 1㎡ 당 에너지 요구량 68.6㎾h, 1㎡ 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3.0㎏ 등을 기록하며 에너지효율등급 최고등급인 1+++을 획득했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 2등급 인증도 받았다.


구상 충남도 기후환경국장은 “이번 합덕수리민속박물관처럼 최신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수송 분야 저탄소를 가속화해 나갈 것”이라며 “일하는 방식을 탄소중립 친화적으로 개선해 공공부문부터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