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BI저축은행 사이다뱅크 누리집 갈무리 |
초저금리 기조에 은행권을 중심으로 신용대출 열풍이 이어지는 가운데 제2금융권도 '신용대출 대열'에 본격적으로 합류하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이 제1금융권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자 저축은행, 카드사 등 제2금융권은 금리를 낮추는 등 적극적으로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회사 등 제2금융권에서 잇달아 금리를 낮추면서 신용대출 시장에서 공격적으로 영업에 나서고 있다.
저축은행은 상품 금리 상한선을 낮추는 등 대출시장 공략에 나섰다.
SBI저축은행, KB저축은행 등은 최저금리를 연 5.9% 적용하는 직장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중금리 대출을 판매하고 있다.
SBI저축은행은 자사 애플리케이션(앱) 사이다뱅크를 통해 최저 6.9%, 최고 연 11.8% 금리인 마이너스 대출 상품을 판매 중이다.
카드사에서는 '마이너스 카드'를 출시해 시장 대출 수요를 잡기 위해 뛰어들었다.
우리카드는 약정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우카 마이너스론'을 출시했다.
이용 한도는 최고 5000만원, 금리는 연 4~10% 내에서 고객 신용도에 따라 정해진다.
롯데카드도 최고 5000만원 한도에 최저 연 4.95%부터 고객 신용도에 따라 금리가 정해지는 마이너스 카드 상품을 지난 9월 출시했다.
마이너스 카드는 은행의 '마이너스 통장'처럼 한도 약정 후 고객이 원하는 때에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신용대출이 늘면서 한국은행이 집계한 3분기 말 현재 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29조5913억원으로, 직전 분기보다 1조8267억원 증가했다.
이런 증가폭은 한은이 관련 통계를 편제한 2003년 1분기 이후 가장 큰 것이다.
[한상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