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국민행복기금이 이달부터 가접수 신청을 받고 신용불량자 구제에 나섭니다.
이제 막 시작한 국민행복기금을 사칭한 대부업체나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피해가 우려됩니다.
김유경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직장인 A씨는 최근 국민행복기금으로부터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라는 문자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메시지에는 기업은행의 이니셜인 IBK가 찍혀있었고, 마침 급전이 필요했던 A씨는 상담을 받기 위해 전화를 해봤습니다.

하지만 알고보니 국민행복기금이나 기업은행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대부중개 회사였습니다.

▶ 인터뷰(☎) : ARS
- "소중한 고객분과 함께하는 신용대출 전문기업입니다. 대출을 원하시면 1번을…"

국민행복기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늘자 대부업체가 이를 이용한 것입니다.

고금리 대부업체들은 지난 2009년 미소금융, 2010년 햇살론이 출시됐을 때도 법인명을 미소금융이나 햇살론이 연상되도록 지어, 소비자 혼란을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대부업체들은 이 밖에 농협·신한·국민 등 금융기관의 이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당국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대부업체들의 영업 행태를 일일이 감독할 수도 없고, 미등록 대부업체는 법망의 사각지대에 있어 단속이 안 된다는 것입니다.

▶ 인터뷰(☎) : 김경수 / 금융위원회 전자금융과 사무관
- "대출을 가장한 피싱문자나 전화사기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것(국민행복기금)을 미끼로 금융회사를 사칭한 피싱문자나 전화사기에 속아서는 안 됩니다."

금융당국은 국민행복기금이 대출상품이 아니며, 금융기관들이 문자를 이용해 대출을 권유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소비자가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M머니 김유경입니다. [김유경 기자 / neo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