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톡을 통해 알아보는 글로벌시황입니다, 뉴욕증시 마감상황부터 보겠습니다.
뉴욕증시가 여러 가지 호재성 재료들로 다우지수와 에스엔피500지수 사상 최고치를 또 경신했습니다.
미국 제조업 주문 지표와 키프로스 위기감 완화가 호재가 됐구요, 지난달 자동차 업체들의 판매량 증가도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의 2월 제조업 수주 증가율은, 시장 전망치를 웃돈 3%를 기록했구요, 1월 증가율도 마이너스2%에서 마이너스1%로 정정했습니다.
미국 내수 주문도 증가하고 있는 등, 미국 경제가 점차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뉴욕증시 마감상황 지수로 자세히 확인해보겠습니다. S&P500지수와 다우지수, 지난달 28일에 경신한 역대 최고치를 또 돌파했는데요
종목별 마감상황 살펴보면요
어제와는 반대로 대부분의 종목이 빨간불켜고 상승마감했는데요, 노인의료보험제도의 의료수가 인상에 힘입어, 휴마나가 5.45% 올랐구요, 홈디포와 시스코 시스템즈도 2%가까이 상승했습니다.
반면 골드만삭스의 매도추천에 휴렛팩커드는 5.19% 밀렸구요, 보잉과 알코아는 1%가량 떨어졌습니다.
부활절 연휴를 마치고 돌아온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키프로스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와 미국의 제조업 호조가 호재가 됐는데요, 키프로스 정부와 국제채권단은 금융 이행조건에 합의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는데요, 키프로스 정부는 경제적 압력을 줄이기 위해서 2018년까지 구제금융 조건을 이행하기로 약속 했습니다. 또한 영국 상무부는 지난달 제조업과 해외 수요가 상승했다고 발표했구요, 수출은 최고 기록에 근접하게 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지수로 자세히 확인해보겠습니다. 영국FTSE100지수 1.23% 올랐구요, 6490선에서 장 마쳤습니다.
어제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혼조세로 장을 마쳤습니다.
일본증시는 미국의 지표부진에 엔화강세까지 더해지면서 증시에 부담이 됐구요,
오늘부터 이틀 동안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앞둔 상황에서, 차익매물이 쏟아져 나온 점도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중국증시는 제약주가 하락세를 주도했는데요, 중국 정부의 의약품 가격 조정이 관련 업계의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보도가 악재가 됐습니다.반면에 부활절을 쉬고 돌아온 홍콩 증시는 강보합 마감했습니다. 아시아 증시 마감상황 지수로 살펴보겠습니다.일본 니케이 지수 1%넘게 떨어졌습니다.
마지막으로 환율 알아보겠습니다.
어제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STX조선해양이,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맺는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틀 연속 상승세로 마감했는데요, 전일대비 3.2원 올랐구요, 1118원에 장을 마쳤습니다.
지금까지 생톡을 통한 글로벌 시황이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