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지난달 정부가 18년 만에 재산형성저축을 부활시키기로 결정하면서 관심을 집중됐는데요.
구체적인 혜택을 놓고 정부와 중소기업 간 다른 입장을 보이며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서환한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근로자들의 재산 형성을 지원하고 저축을 유도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재산형성저축, 일명 재형저축이 18년 만에 부활합니다.
인력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과 목돈 마련이 쉽지 않은 근로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재형저축을 도입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입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안에 대해서는 입장 차이가 뚜렷합니다.
정부는 복지확대 등으로 재원 마련이 쉽지 않다면서 4% 대의 금리와 함께 비과세 혜택 정도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 인터뷰 : 이민영 / 중소기업중앙회 과장
- "정부안은 비과세 혜택만 주는 것으로 나와있는데요. 비과세 뿐만 아니라 과거의 재형저축처럼 10% 이상의 고금리까지 보장이 되야 실질적인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위한 대책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
중소기업 측은 정부가 연봉 5000만원 이하의 대기업 근로자와 연봉 3500만원 미만의 자영업자에게까지 재형저축 혜택을 주려는 것도 지적했습니다.
중소기업의 구직난 해소를 위해서는 연봉 3600만원 이하의 중소기업 근로자에게만 가입을 허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100만원 이하인 납입금 제한 역시 더 높여 실질적인 목돈 마련 정책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30년 전 직장인들의 개설 통장 1호였던 재형저축이 서민들의 재테크 수단으로 다시 사랑받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M머니 서환한입니다.[bright86@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