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AI 시대에 최적화된 냉난방공조(HVAC) 솔루션으로 데이터센터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 데이터센터 전용 액체냉각 솔루션을 연내 상용화하고, 내년부터 고객사에 본격 공급하겠다고 오늘(8일) 밝혔습니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HVAC은 질적 성장을 위한 B2B 영역의 핵심 동력으로 냉난방공조 사업 가속화를 위해 전진하고 있다"며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시장을 빠르게 선점하기 위해 코어테크 기술과 위닝 R&D 전략으로 액체냉각 솔루션을 연내 상용화하고, 내년부터 본격 공급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올해 데이터센터향 냉각 솔루션 수주를 지난해 대비 3배 이상 확대한다는 계획도 함께 내놨습니다.
이 본부장은 이어 "이를 발판으로 시장보다 2배 빠른 압축성장을 만들어내겠다"라고 덧붙였습니다.
LG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인 냉각수 분배 장치(CDU)도 처음 공개했습니다.
액체냉각 솔루션은 칩을 직접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LG전자는 냉각 솔루션 향상을 위해 평택 칠러공장에 실제 서버환경을 재현한 테스트베드도 구축했습니다.
LG전자는 또한 데이터센터 외에도 초대형 칠러, 클린룸, 스마트팜 등 다양한 분야로 HVAC 외연을 확장하며, 향후 2년 내 관련 매출 1조 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습니다.
LG전자 인버터 스크롤 칠러는 미국 배터리공장과 국내 화학플랜트 등에서 공급 확대 중이며, 친환경 냉매 적용으로 탄소규제 대응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앞으로도 현지 완결형 밸류체인 구축, 비하드웨어(Non-HW) 매출 확대, 인수합병(M&A)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글로벌 탑티어 공조 업체로 도약한다는 방침입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