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서한발송 국가 12개 혹은 15개”
9일까지 합의·서면발송 형태 마무리 예고
빠른 협상타결 위한 전략 일환인듯
베선트 “많은 협상 빠르게 매듭지을것”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함께 뉴저지주 모리스타운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서한’ 발송 대상국이 12개국 혹은 15개국이 될 수 있다면서 무역협상 대상국들을 상대로 재차 압박을 가했다.
그는 대상국을 밝히지 않고 협상 시한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며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 발송으로 관세율을 통보하는 것과 함께 몇몇 합의를 조합하게 될 것이라 부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뉴저지주 베드민스터 골프클럽에서 워싱턴DC 백악관으로 복귀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7일부터 각국에 서한을 발송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백악관 풀기자단이 전했다.
그는 그러면서 각국에 적용할 관세율을 담은 서한을 발송할 국가가 “12개일수도, 15개일수도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이미 합의를 본 것들도 있다”며 “따라서 서한과 몇몇 합의가 조합된 형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율이 7월 9일에 바뀌는지, 8월 1일에 바뀌는지를 묻는 질문에 “나는 우리가 대부분 국가와 서한 아니면 합의를 통해서 7월 9일까지 마무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을 받게 될 국가의 목록은 공개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 탑승한 기자들에게 12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적은 서한에 서명했으며, 이 서한들을 7일(현지시간) 해당 국가에 발송할 것이라 밝혔던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협상에 진전이 없는 국가들에는 그동안 유예했던 상호관세를 오는 8월 1일부터 다시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미국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CNN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유예 종료일인 9일에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묻는 질문에 즉답을 피했다.
베선트 장관은 “우리는 지켜볼 것이다.
전술(playbook)을 공개하지 않을 것”이라며 “매우 빠르게 많은 협상을 매듭지을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의 교역 파트너 일부에게 ‘너희가 협상을 진전시키지 않으면 너희는 8월 1일에 다시 4월 2일 관세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낼 것이다.
그래서 난 우리가 많은 합의를 매우 곧 보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서한을 받는 국가들이 협상에 속도를 내 합의할지, 기존 상호관세율로 돌아갈지는 그들의 선택이라면서 이를 ‘최대 압박을 가하는 전술’이라고 설명했다.
협상 기한도 새롭게 설정될 수 있다는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의 발언도 있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CBS 인터뷰에서 미국과 성실하게 협상을 진행 중인 국가들에는 협상 기한이 연장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도 ABC 뉴스에 출연, 협상 시한 연장 가능성에 대해 “성실히 협상하고 합의를 위해 양보를 하는 국가들이 있다.
하지만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일정 조정 가능성을 내비쳤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