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 규제에 ‘벌벌’…강남권 아파트 매수수요 7주 만에 ‘뚝’

서울 매매수요 10주만에 하락 전환
전문가 “다음주 더 하락할 수도”

한강에서 바라본 스카이라인에 아파트가 빼곡히 들어서 있다.

[이승환 기자]

정부의 초강수 대출 규제에 강남권 아파트의 매수 심리가 두 달 만에 꺾였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째주(6월 30일 기준) 기준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8.8로 전주(111.2) 대비 2.4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5월 첫째 주(100.8) 이후 7주 연속 상승하던 지수가 꺾인 것이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나타내는 점수화한 것으로, 기준선 100보다 크면 시장에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매도하려는 수요보다 더 크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서울 전체 매매수급지수도 103.7로 전주(104.2)보다 0.5포인트 낮아지며 10주 만에 하락 전환했다.

전주 대비 상승폭이 줄어든 것은 4월 셋째주(98.4) 이후 처음이다.


최근의 시장 관망세는 다른 부동산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KB부동산이 전날 발표한 지난달 30일 기준 주간아파트시장동향에선 서울의 매수우위지수가 급락했다.


이 통계에서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76.4로 전주(99.3)보다 22.9포인트 내렸다.


권역별로는 강북 14개구 69.7, 강남 11개구 82.3으로 각각 전주 대비 18.9포인트, 26.6포인트 하락해 강남권 매수 심리 위축이 두드러졌다.


실제 서울 집값 상승폭도 둔화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5주(6월 30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40% 상승하며 22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전주(0.43%) 대비 감소했다.


이처럼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달라진 것에는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달 27일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초강수 대출 규제를 발표했다.


다주택자에게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 0%를 적용하는 등 대출 문턱을 크게 높였고, 주담대를 받을 경우 6개월 내 반드시 전입하게 했다.


7월부터는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까지 시행되면서 수요자들의 자금 조달 여건이 한층 까다로워졌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주택 수요는 대출 규제에 워낙 민감해 오늘 규제하면 내일 바로 수요 감소가 나타난다”면서 “과거 6·19 대책이나 8·2 대책 등이 나왔을 때 매매수급지수가 한두 달은 둔화했다는 점에서 다음주는 매매수급지수가 더 하락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