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정부의 초강수 대출 규제에 강남권 아파트의 매수 심리가 두 달여 만에 수그러 들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째주(6월 30일 기준) 기준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8.8로, 전주보다 2.4포인트 떨어졌다.
집값 상승을 주도하는 동남권 지역의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5월 첫째주(5월 5일) 100.8을 기록한 이후 7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으며 지난달 넷째주(6월 23일)엔 111.2까지 올랐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나타내는 점수화한 것이다.
기준선 100보다 크면 시장에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매도하려는 수요보다 더 크다는 의미가 된다.
지난달 27일 정부가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초강수 대출 규제를 발표하며 시장 돈줄을 옥죄자 수요자들이 관망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전체의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상승세도 10주 만에 꺾여, 지난달 다섯째주 서울의 매매수급지수는 103.7를 기록했다.
이는 전주(104.2)보다 0.5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전주 대비 상승폭이 줄어든 것은 4월 셋째주(98.4) 이후 처음이다.
최근의 시장 관망세는 다른 부동산 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KB부동산이 전일 발표한 지난달 30일 기준 주간아파트시장동향에선 서울의 매수우위지수가 크게 떨어졌다.
이 통계에서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76.4로 전주(99.3)보다 22.9포인트 내렸다.
권역별로는 강북 14개구 69.7, 강남 11개구 82.3으로 각각 전주 대비 18.9포인트, 26.6포인트 하락해 강남권 매수 심리 위축이 두드러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