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 사전검증 도입
에너지 초과 생산 구조
모듈러 주택 안전 기준 마련
 |
LG전자는 최근 한국전기안전공사와 ‘모듈러(Modular) 주택 전기안전 확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은 왼쪽부터 표정재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업운영처장, 조연우 LG전자 스마트코티지 대표. |
LG전자가 자사 모듈러 주택 ‘스마트코티지’로 제로에너지건축물 최고 등급 ‘ZEB 플러스(Plus)’ 인증을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ZEB 인증은 한국에너지공단이 신재생에너지 활용 비율을 기준으로 건축물의 에너지 자립 수준을 평가해 부여하는 제도다.
스마트코티지는 에너지 자립률 100%를 넘어 생산량이 소비량을 초과하는 구조로 최고 등급을 받았다.
국내 프리패브(사전 제작) 건축물 중 최초 사례다.
스마트코티지는
LG전자 AI 가전과 냉난방공조(HVAC) 기술을 결합한 전기 기반 모듈러 주택이다.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면 주택 내 전력을 자체 생산할 수 있다.
LG전자는 전기 안전 기준 마련에도 나섰다.
LG전자는 최근 전북 김제 스마트코티지 현장에서 한국전기안전공사와 ‘모듈러 주택 전기안전 확보’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표정재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업운영처장과 조연우
LG전자 스마트코티지 대표가 참석했다.
양사는 ‘모듈러 주택 미리 안심 인증제도’를 신설해 설계·제작 단계부터 전기안전 검사를 수행하고 별도 등급을 부여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건축물 설치 후 검사를 진행해 재시공이 필요한 경우가 있었으나, 사전 점검을 통해 품질 신뢰성과 효율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LG전자는 해당 제도를 스마트코티지에 우선 적용하고 실증을 거쳐 모듈러 건축 시장 전반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LG전자는 지난 28일부터 김제 스마트코티지에서 온라인 예약 기반 오픈하우스를 운영 중이다.
조연우 대표는 “스마트코티지는 공간과 가전, 서비스를 융합한 미래형 주거 모델”이라며 “에너지 효율과 안전 기준을 새롭게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