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비장의 무기 꺼내든 이재명...원전 전력 활용한다는 ‘수소환원제철’ 뭐길래

포항 제철소 인근 원전 전력으로
수소 생산해 친환경 철강 생산
분산에너지 연계해 시너지 모색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골목골목 경청투어’ 접경지역 방문 이틀째인 2일 강원도 인제군 원통전통시장에서 주민들을 만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선 후보 산업 분야 공약으로 ‘수소환원제철’을 전면에 내세운다.

특히 포항제철소 인근 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소환원 기반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핵심으로 논의되고 있다.


30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정책개발기구인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와 당 정책위원회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고부가가치 철강 생산을 위한 돌파구로 보고 이를 대선공약에 담기 위한 논의를 진행중이다.


수소환원제철은 철광석에서 산소를 제거할 때 석탄 대신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산화탄소 대신 물만 부산물로 나와 탄소배출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제철 기술로 꼽힌다.


특히 미래성장전략위원회의 경우 포항제철소 인근 원전에서 생산한 전력으로 ‘핑크수소’를 만들어 이를 제철 공정에 투입하는 방안을 연구중이다.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 위원장인 이언주 의원은 “전 세계적인 탈탄소 기조 속에서 수소환원제철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공정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전기가 소요된다는 게 걸림돌”이라며 “포항 인근 원전에서 생산되는 전력으로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고, 이를 제철 공정에 투입하는 모델을 중심으로 전력 수요예측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수소는 어떻게 생산하느냐에 따라 친환경성이 갈린다.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는 ‘그린수소’, 원전 전력 기반 수소는 ‘핑크수소’로 분류된다.

그린수소는 가장 친환경적이지만, 기후 조건에 따라 출력이 불안정하고 생산 단가가 높아 대규모 공정에는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따라 공급이 안정적이고 탄소배출도 적은 핑크수소가 철강 산업에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평가다.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다만 상용화되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

중국, 일본 등 각국이 경쟁적으로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내년부터 2030년까지 실증을 마치고, 2035년께 상용기술을 확보하는 게 목표다.

실증에는 약 1조원에 가까운 돈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정부지원 약 3000억원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다.


민주당은 기존의 예타 기반 보조 방식에서 나아가, 정부가 특수목적법인(SPC)를 설립하고 투자에 따른 기술지분을 확보하는 방식도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재정 부담을 분산하면서 기술 상용화 이후 정부 수익 환수도 가능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민주당은 광양을 중심으로 제철산업과 태양광, 풍력을 비롯한 지역 분산에너지 연계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전력 생산지에서는 전력을 더 싸게 공급받을 수 있게 하는 차등요금제까지 본격화하면 포항과 광양의 수소환원제철 클러스터 구상이 더 시너지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철강산업의 무탄소 전환 투자분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방안도 공약에 담길 가능성이 거론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