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보도…8개 품목 대상
中상황 모른다 즉답 피해
 |
[로이터 =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중국도 일부 품목에 대한 최대 125%의 보복관세를 이미 철회했거나 철회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던 양국이 경제 타격을 우려해 한 발씩 물러나 미·중 무역전쟁이 전환점을 맞을지 주목된다.
아직 중국 당국은 공식 발표를 내놓지 않았다.
하지만 이미 무역 현장에서는 미국산 반도체 관련 관세가 면제되기 시작했으며, 에탄과 의료장비 등에 대한 관세 면제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5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일부 반도체 품목에 대해 조용히 면제해주고 있는 상황이다.
CNN이 중국 선전에 위치한 수입 대행 기관 3곳에 확인한 결과, 전날부터 메모리 반도체를 제외한 반도체 관련 품목 8개에 대한 관세가 면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미 보복관세로 자국 내 첨단 산업이 입게 될 타격을 완화하기 위해 중국 당국이 관세를 조용히 면제해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당국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부과한 상호관세를 철회할 때까지 협상에 임하지 않겠다며 강하게 버티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상당한 경제적 타격을 입고 있다는 방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스마트폰과 반도체에 대한 상호관세 적용을 면제한 바 있다.
중국 한 수입 대행 업체인 정넨량 공급망에서 일하는 천샤오링은 전날 고객들이 일상적인 세관 통관 절차 중 관세가 면제된 사실을 발견했다고 CNN에 전했다.
천샤오링은 “우리는 신고서를 제출한 후에야 알게 됐다”며 “이 소식은 지금 빠르게 퍼지고 있다”고 밝혔다.
당국은 우선 중국에서 생산이 불가능한 핵심 반도체 품목을 파악한 뒤 이에 대한 관세를 면제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중국 상무부는 기업들로부터 면제 품목에 대한 개별 요청을 수집한 바 있다.
마이클 하트 미국상공회의소 중국지부 회장은 “중국 정부가 중국 에서 활동하는 미국 기업들에 미국에서 수입하는 제품 중 다른 곳에서 구할 수 없는 것들이 무엇인지 물어봤다”고 밝혔다.
다만 중국 당국은 관세 면제 사실에 대한 공식 논평을 내놓지 않고 있다.
CNN은 중국 상무부와 외교부에 논평을 요청했지만, 당국은 이 내용을 확인해주지 않았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날 블룸버그는 중국 당국이 의료 장비와 에탄과 같은 산업용 화학제품 등 일부 미국산 수입 품목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중국 가공 업체들이 에탄과 액화석유가스(LPG) 등 석유화학 원료 대부분을 미국에 의존하고 있었던 만큼 이번 무역전쟁으로 인해 플라스틱 산업이 큰 타격을 입은 탓이다.
또한 항공기 임대에 대한 관세 면제도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보복관세로 항공기 임차료가 치솟으면서 중국 항공사의 재정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