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악성 미분양' 11년 5개월 만에 최대…정부 대책에도 급증세

[사진=챗GPT 생성 이미지]
정부가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과 세제 혜택 등 각종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은 계속 늘어나며 11년 5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3천722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99.9% 증가했습니다.

전월과 비교해서도 6.1% 늘어나며, 2013년 9월 이후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전체 악성 미분양의 80.8%는 지방에서 발생했으며, 지역별로는 대구가 3천67가구로 가장 많았고, 경북과 경남, 전남, 부산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2천212가구, 인천 1천679가구, 서울 652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울산의 악성 미분양 증가율은 312.9%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경북, 대구, 인천, 전북 등에서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전국 일반 미분양도 7만6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했으나, 전월과 비교하면 소폭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약 3천 가구를 매입하고, 디딤돌 대출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등의 대책을 내놓았지만, 전문가들은 단기간 해결이 어렵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습니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수석은 "시장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물량이 계속 나오다 보니 실수요자가 없고, 건설사 입장에서도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수석전문위원은 "LH 매입은 심폐소생술 수준이며, 근본적인 수요 회복이 이뤄져야 하는데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겹쳐 단기 해결은 어렵다"고 진단했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