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챗GPT 생성 이미지] |
우리나라 노동자 10명 중 8명 이상이 노동시장 격차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동자들은 근로 시간의 자율성보다는 고용 안정성을 중시하며, 비정규직 근로자의 72%는 정규직 전환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민통합위원회가 발주한 '일자리 격차 및 노동시장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자 응답자의 84%가 노동시장 격차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개선 방향으로는 비정규직 처우 개선이 58%로 가장 높았고, 대기업·정규직 혜택 완화가 24%를 차지했습니다.
정규직 근로자의 65%는 비정규직 시간제 전환을 원하지 않았으며, 비정규직 근로자의 72%는 시간 활용이 자유롭지 않더라도 정규직 전환을 희망했습니다.
다만,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부족 해소 방안으로는 정년 연장이나 고용 안정보다 유연근로제 확대 등 노동시장 유연성 강화가 더 필요하다는 응답이 42%로 가장 많았습니다.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 응답은 10%, 이민노동자 활용 응답은 4% 미만에 그쳤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80%가 찬성했고, 2025년 적정 최저임금으로는 평균 1만862원이 제시됐습니다.
임금 격차 해소 방안으로는 투명한 임금 정보 공개가 78%로 압도적이었으며, 직무급제 확산이나 공제 완화는 18%에 머물렀습니다.
정책별로는 연장근로 기준단위 확대에 대해 반대가 51%로 찬성(49%)보다 소폭 많았고, 근로조건의 기업 자율화 정책에 대해서는 69%가 찬성했습니다.
한편, 노동시장에 대한 인식은 개인의 고용 형태와 조건에 따라 달랐습니다.
정부 개입이 불필요하다고 본 응답자는 대체로 남성이며, 연령이 낮고 수도권 거주자이면서 고소득 정규직이거나 노조 가입자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정규직 근로자는 비정규직 처우 개선보다는 자신들의 혜택을 줄이는 방안에 더 찬성하는 경향을 보였고, 처우가 열악한 노동자일수록 정책 개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보고서는 "노동시장 격차를 해소하고 지속 가능한 노동시장을 구축하려면 노동약자 처우 개선과 임금 정보 투명성 강화, 노동시장 유연성 강화 등이 필요하다"며 "정확하고 적합한 정책 정보 제공과 고용 안정성 강화,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 중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17일부터 26일까지 정규직, 비정규직, 비근로자를 포함한 4천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