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챗GPT |
최근 젊은 직장인 사이에서 ‘마이크로 은퇴’ 열풍이 뜨겁다.
마이크로 은퇴란 인생의 끝자락에서 맞이하는 전통적인 은퇴가 아닌, 잠시 업무를 손에 놓는 것을 말한다.
특히 Z세대 직장인은 마이크로 은퇴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 플랫폼 캐치가 Z세대 구직자 219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젊은 직장인은 ‘전통적인 은퇴(35%)’ 방식보다 일정 주기마다 퇴사나 휴직을 통해 휴식기를 갖는 ‘마이크로 은퇴(65%)’ 형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마이크로 은퇴(전통적인 은퇴 시점을 기다리지 않고, 퇴사나 휴직을 통해 중간 휴식기를 갖는 것)를 시도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60%가 ‘시도하고 싶다’고 답했고, ‘잘 모르겠다’는 30%, ‘시도하고 싶지 않다’는 10%로 나타났다.
마이크로 은퇴를 시도하고 싶은 이유로는 ‘국내외 여행’이 5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취미생활(15%)’ ‘휴식 및 건강 회복(11%)’ 순이었다.
이외에도 △자기계발(8%) △커리어 전환(6%) △새로운 경제활동(5%) △가족·친구와의 시간(4%) 등이 있었다.
반면, 시도하고 싶지 않다고 응답한 이들은 가장 큰 이유로 ‘경제적 공백(32%)’을 꼽았다.
이어 ‘경력 단절 우려(30%)’ ‘커리어 정체기(17%)’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장기 계획 차질(14%) △사회적 인식 부담(5%) 순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 은퇴를 실제로 고려 중인 응답자에게 ‘언제쯤 시도할 계획인지’ 묻자, ‘언제든 필요할 때’라는 응답이 25%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1년 뒤’는 20%, ‘5년 뒤’는 17%, ‘3년 뒤’는 15%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10년 뒤(10%) △2년 뒤(9%) △7년 뒤(4%) 순이었다.
마이크로 은퇴를 실제로 고려 중인 응답자에게 ‘언제쯤 시도할 계획인지’ 묻자, ‘언제든 필요할 때’가 25%로 가장 많았다.
이어 ‘1년 뒤(20%)’ ‘5년 뒤(17%)’ ‘3년 뒤(15%)’ 순이었으며, 이외에도 △10년 뒤(10%) △2년 뒤(9%) △7년 뒤(4%) 등의 응답이 있었다.
진학사 캐치 김정현 본부장은 “평생직장이 사라지고 이직이 보편화되면서, 중간 휴식기를 갖는 마이크로 은퇴가 Z세대의 새로운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다”며 “전통적 은퇴 시점을 기다리기보다 주도적으로 삶의 방향을 설계하려는 움직임”이라고 분석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