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챗GPT 생성 이미지]
미국과 더불어 세계 핵심 내수 시장인 중국에서 한국 소비재 상품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7일 한국무역협회의 무역 통계 시스템 'K-stat'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중국 소비재 수출액은 61억5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6.9% 감소했습니다.

한국의 대중 소비재 수출은 2021년 88억1천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22년 72억9천만 달러, 2023년 66억 달러, 2024년 61억5천만 달러로 3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한국의 전체 소비재 수출이 3.1%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며, 대중국 소비재 시장에서의 부진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국 전체 수출에서 소비재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전 세계 대상 소비재 수출 비중인 14.8%와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준으로, 한국 소비재 상품이 중국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소비재 수출 감소로 인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중간재 중심으로 쏠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 중 85.9%는 메모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 부품 등 중간재가 차지했습니다.

한국 소비재 중 가장 수출 규모가 큰 자동차는 중국 내수 시장 경쟁에서 밀려난 지 오래입니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2016년 중국 판매량이 114만 대에 달했으나, 2017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고전하고 있습니다.

현대차의 2023년 중국 판매량은 24만9천 대로, 2016년의 5분의 1 수준에 그쳤습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도 중국 시장에서의 존재감이 약화된 상황입니다.

한때 중국 시장 점유율 20%대로 1위를 기록했던 삼성은 화웨이, 샤오미 등 현지 업체에 밀려 점유율이 급감했습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대중국 수출 효자였던 화장품 수출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49억 달러를 기록했던 대중 화장품 수출액은 이후 줄곧 감소해 2024년에는 25억 달러로 절반 가까이 줄었습니다.

이는 중국 소비자들의 국산 화장품 선호 증가와 맞물려 한국산 화장품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