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상자산 투자자 수가 1천50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5일) 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1월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 수는 1천559만 명으로, 10월 말보다 61만 명 증가했습니다.
이는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 계정을 보유한 투자자 수로, 같은 사람이 여러 거래소에 계정을 가진 경우를 중복 합산한 수치입니다.
한은이 가상자산 관련 통계 자료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지난 7월 시행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에 따라 사업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했습니다.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 수는 지난 7월 말 1천474만명, 8월 말 1천482만명, 9월 말 1천488만명, 10월 말 1천498만명 등으로 매달 10만 명 안팎씩 늘다가 11월 들어 증가 폭이 커졌습니다.
1비트코인 가격이 10월 말 1억50만 원대(업비트 기준)에서 11월 말 1억3천580만 원대로 급등하는 등 가상자산 시장이 모처럼 활기를 띤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11월 말 국내 투자자들의 가상자산 보유금액은 시가 평가 기준으로 총 102조6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전체 보유액은 지난 7월 말 58조6천억 원, 8월 말 50조6천억 원, 9월 말 54조7천억 원, 10월 말 58조 원 등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11월 말 102조6천억 원으로 훌쩍 뛰었습니다.
같은 기간 1인당 보유액도 384만 원, 341만 원, 368만 원, 387만 원 등으로 고만고만한 수준을 이어오다 658만 원으로 급증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투자 대기성 자금인 예치금, 즉 가상자산에 투자되지 않고 거래소에 보관된 자금 규모는 11월 말 8조8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예치금 역시 7월 말 4조9천억 원, 8월 말 4조5천억 원, 9월 말 4조4천억 원, 10월 말 4조7천억 원에서 11월 말 크게 증가했습니다.
거래 규모도 국내 주식시장을 위협할 만큼 커졌습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11월 중 14조9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는 같은 달 코스피시장(9조9천214억 원)과 코스닥시장(6조9천703억 원)을 합한 것과 맞먹는 규모입니다.
앞선 일평균 거래대금은 7월 중 2조9천억 원, 8월 중 2조8천억 원, 9월 중 2조8천억 원, 10월 중 3조4천억 원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임 의원은 "가상자산 거래 규모가 주식시장에 필적하는 수준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며 "범정부 차원에서 가상자산 시장의 안정성을 제고하고 이용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건전한 시장 거래를 확립하기 위해 준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습니다.
[ 이유진 기자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