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폭은 1조원대로 축소됐지만, 금융권 전체의 가계대출 증가폭은 6조원 내외로 다시 확대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금융당국의 압박에 주요 시중은행이 대출 조이기에 나서자 지방은행, 인터넷은행, 2금융권으로 대대적인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폭은 2조 원대로 약 3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서민대출 등 생계형 대출 규모도 급증해 가계대출의 질적 악화에 대한 우려가 쌓입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10월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전달보다 약 6조 원 늘어났다.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지난 8월 9조 8천억 원 늘어 3년 1개월만에 최대폭 증가를 기록했으나, 9월에는 증가액이 5조2천억원으로 반토막이 났다가 한달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10월 말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이 9월말보다 1조 1천141억 원 늘어난 데 그친 것을 감안하면, 지방은행과 인터넷은행, 2금융권 가계대출이 주요 은행에 비해 4배 이상 급증한 것입니다.
특히 지난달 30일 기준 2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 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이는 2021년 11월 3조 원 이후 거의 3년(2년 11개월)만에 최대폭으로, 당시에는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 5조 9천억 원 중 절반 이상을 2금융권이 차지한 바 있습니다.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 중 절반가량은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에서 늘어났습니다.
은행권이 가계대출을 축소한 틈을 타 상호금융권이 집단대출(중도금·잔금대출 등)과 주택담보대출을 늘린 데 따른 것입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 강화 기조를 고수한다는 방침입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가 지속되는 것은 긍정적 신호"라면서 "9월부터는 보험업권, 이달부터는 상호금융권을 비롯한 2금융권도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들어갔으니 한두 달 후부터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나머지 절반가량은 서민들의 급전으로 분류되는 카드론과 보험약관대출, 신용대출 등이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카드론 증가폭은 5천억원대, 보험 약관대출은 3천억 원대로 알려졌습니다.
이혁준 NICE(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은 "올해 가계대출이 급증하자 은행권의 가계대출을 좀 세게 누르면서 2금융권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이라며 "풍선효과가 나타나면 대출의 질이 악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단기적으로 풍선효과보다는 가계대출 증가세를 제어하는 것을 더 중요한 정책목표로 삼은 데 따른 현상으로 보인다"면서 "2금융권의 연체율이 올해 들어서 전반적으로 많이 올랐고, 좀처럼 잡히지 않을 것으로 보여 우려스럽다"고 지적했습니다.
[ 이정호 기자 / lee.jeongho@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