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기업공개(IPO)에 나서는 ‘재수생’이 적지 않다.
투자자 관심이 가장 집중되는 공모주는 단연 코스피 상장에 도전하는 조 단위 ‘대어’다.
국내 1호 인터넷 전문은행 케이뱅크가 대표적이다.
케이뱅크는 지난 2022년 IPO를 추진하다 결국 철회했다.
2022년 6월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해 3개월여 만에 예비심사를 통과했었다.
그러나, 고심 끝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
시장 침체로 회사가 기대하는 기업 가치를 인정받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이후 케이뱅크는 절치부심하고 IPO 재도전을 준비했다.
그리고 올 하반기 코스피 상장을 목표로 지난 6월 28일 한국거래소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주관사가 달라졌다.
기존 NH투자증권·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JP모간에서 NH투자증권·KB증권·뱅크오브아메리카(BoA)로 변경했다.
KB증권은
카카오뱅크 상장 대표 주관 경험이 있어 인터넷은행 업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BoA는 각국 국부펀드와 연기금 등 글로벌 핵심 투자자에 대한 차별적 네트워크와 세일즈 역량을 갖췄다.
BoA의 경우, 2021년 7월 케이뱅크가 인터넷은행 역대 최대인 1조 2,500억 원 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할 때 주관사를 맡기도 했다.
2년 사이 실적도 좋아졌다.
케이뱅크는 올 상반기 당기 순이익 854억 원을 기록했다.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이다.
지난 2022년 기록한 연간 기준 최대 순이익(836억 원)을 반년 만에 넘어섰다.
여신과 수신 모두 1년 전과 비교하면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간다.
지난 2분기 말 케이뱅크 수신 잔액은 21조 8,5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늘었다.
여신 잔액은 같은 기간 12조 6,700억 원에서 15조 6,700억 원으로 24% 증가했다.
올해부터 시작된 대환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덕분에 시중은행에서 인터넷은행으로 대출을 갈아탄 고객이 급증한 영향이 크지만, 상장을 앞두고 실적이 개선됐다는 점은 기업가치 측면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불안 요소도 있다.
국내 유일 비교기업인
카카오뱅크 주가 부진이 길어지면서다.
현재 시장에서 거론되는 기업가치 4~5조 원 수준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적어도 2배 이상 주가순자산비율(PBR)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주가 약세 기간이 길어진
카카오뱅크의 최근 PBR은 1.6배 수준에 그친다.
이를 케이뱅크에 적용하면 기업가치는 3조 원대에 머문다.
이 때문에 케이뱅크가 해외 인터넷전문은행과 플랫폼 기업 등을 비교기업으로 선정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공모 구조도 약점으로 꼽힌다.
한국거래소에 청구한 상장 예비심사 신청서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이번 IPO를 통해 총 8,200만주를 공모할 계획이다.
이 중 절반이 구주매출로 비중이 적지 않다.
일반적으로 구주매출은 회사로 자금이 흘러 들어가지 않고 기존 주주에게 돌아간다는 점에서 투자자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준다.
[Word 명순영 기자 Photo 케이뱅크]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