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의 사업 구조 개편을 통해
두산밥캣이
두산로보틱스의 비상장 자회사가 되면 그룹 차원의 경영 개입 가능성이 커져
두산밥캣의 재무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국제 신용평가사의 진단이 나왔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현지시간 17일 "두산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은
두산밥캣에 대한 그룹의 개입 가능성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며
두산밥캣의 'BB+' 장기 발행자 신용등급과 채권등급을 '부정적 관찰대상'(Credit Watch)으로 지정한다고 밝혔습니다.
두산그룹의 계열사 개편은
두산밥캣의 지분 46%를 가진
두산에너빌리티를 인적분할한 뒤
두산에너빌리티 분할신설법인을
두산로보틱스와 합병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외 주주가 보유한
두산밥캣 잔여 지분은 포괄적 주식교환 또는 주식매수청구권 행사를 통해 취득하고
두산밥캣은 최종적으로 상장폐지될 예정입니다.
S&P는 "두산그룹의 구조개편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두산그룹은
두산밥캣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 구조개편으로 그룹 지배구조 최상단에 있는 ㈜두산의
두산밥캣에 대한 실질적 지분율이 약 14%에서 42%로 높아져 두산그룹이 재무적 어려움을 겪을 경우
두산밥캣에 대한 부정적인 개입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
두산로보틱스가
두산밥캣의 견조한 수익성과 현금흐름을 기업성장을 위한 투자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기에
두산밥캣의 재무정책 기조가 보다 공격적으로 변할 수 있다"며 "이와 더불어
두산밥캣 주주들이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경우 최대 1조5천억 원의 현금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이나연 기자 / naye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