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2분기 매출 2조4079억원, 영업이익 3727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습니다.
이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7.7%, 10.9% 증가한 수치로, 영업이익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조정EBITDA는 웹툰의 2분기 EBITDA 흑자 재진입 및 포시마크 흑자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1%, 전분기 대비 5.5% 증가한 515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업 부문별 매출은 ▲서치플랫폼 9104억원 ▲커머스 6329억원 ▲핀테크 3397억원 ▲콘텐츠 4204억원 ▲클라우드 1045억원 등입니다.
서치플랫폼은 전년 동기 대비 0.5%, 전분기 대비 6.9% 증가한 910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검색광고는 상품 고도화로 광고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글로벌 경기 악화에 따른 광고 시장 침체에도 전년동기 대비 4.3% 성장했고 플레이스 광고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92% 증가했습니다.
커머스는 사업부문에서 가장 높은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커머스는 전년 동기 대비 44.0%, 전분기 대비 4.5% 성장한 6329억원으로, 2분기 네이버 전체 커머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8% 성장한 11조9000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커머스 광고는 소비 심리 위축, 마케팅 비용 효율화에도 불구하고 추천 광고 고도화 등으로 전년 대비 2.5%, 전분기 대비 6.1% 성장했습니다.
핀테크는 전년 동기 대비 14.9%, 전분기 대비 6.7% 증가한 339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2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14조6000억원을 달성하며, 전년 동기 대비 21.2%, 전분기 대비 9.2% 증가했습니다.
외부 결제액은 전년동기 대비 41% 성장한 6조3000억원을 기록하고, 오프라인 결제액은 삼성페이 연동에 따라 전년동기 대비 2배 수준인 1조40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콘텐츠는 전년 동기 대비 40.1%, 전분기 대비 2.2% 증가한 4204억원입니다.
글로벌 웹툰 통합 거래액은 전년동기 대비 8.6%, 전분기 대비 5.0% 성장한 4448억원입니다.
일본 지역에서는 오리지널 비중 확대로 유료 이용자가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증가했고, 미국에서도 ARPPU(유료 이용자당 결제액)가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확대되며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클라우드 및 미래 R&D는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했으나, 전분기 대비로는 12.1% 증가한 104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B2B(기업간거래) 매출액은 공공부문 매출 성장으로 전년동기 대비 8.2%, 전분기 대비 8.7% 증가했습니다.
네이버는 오는 24일 차세대 초대규모AI '하이퍼클로바 X'를 공개하고,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 X'와 클라우드 기반의 B2B 상품들도 보다 강화할 계획입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2분기 주요 사업부문이 모두 고르게 성장했다"며 "앞으로 네이버는 장기간 축적한 AI 기술력과 플랫폼 경쟁력을 바탕으로 네이버만의 생성형 AI 경험을 제공하고 성장세를 이어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탐색에서부터 검색, 구매, 결제까지 소비자의 전 여정을 전부 책임지고 있는 네이버는 전세계적으로도 희소한 가치를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이다"라며 "지난 몇년간 조 단위가 넘는 상당한 투자를 통해 축적해 온 AI 기술을, 네이버만의 방식으로 활용해, 네이버의 각 사업부문들이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궁극적으로 네이버의 사업 동반자들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