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해 현지에서 친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한 양국 간 첨단산업 협력 강화에 힘을 보탰습니다.
오늘(1일) SK그룹에 따르면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미국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투자신고식에서는 SK가 그간 글로벌 투자·협력을 통해 끌어낸 미국 친환경 기업들의 국내 투자신고가 포함됐습니다.
글로벌 수소에너지 선도기업 플러그파워는 SK E&S와 합작법인 'SK 플러그 하이버스'를 통해 국내 수소산업에 1조원을 투입하는 내용의 투자를 신고했습니다.
플러그파워는 수소연료전지 및 전해조 설비 분야에서 선도적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앞서 SK㈜와 SK E&S는 2021년 플러그파워에 16억달러(약 1조8천억원)를 투자해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습니다.
이번 투자신고에 따라 SK 플러그 하이버스는 국내에 수소기술 연구개발(R&D) 센터 및 수소 핵심설비 생산기지인 '기가팩토리(Giga-factory)를 세우고 수소연료전지와 전해조 설비 대량생산체계를 갖춥니다.
국내 액화수소충전소 구축과 운영에도 투자합니다.
플라스틱 재활용 기업 퓨어사이클 테크놀로지(PCT)도 SK지오센트릭과 설립한 합작법인을 통해 국내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설에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PCT는 폐플라스틱에서 오염물질과 냄새, 색을 제거한 초고순도 재생 폴리프로필렌 추출 기술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SK지오센트릭이 작년 3월 5천500만달러(약 680억원)를 투자해 지분을 확보했습니다.
작년 10월에는 양사가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하고 재활용 플라스틱 생산공장의 연내 착공을 목표로 협업 중입니다.
양사는 2025년까지 울산에 세계 최초 플라스틱 재활용 단지인 울산ARC(Advanced Recycling Cluster)를 함께 조성할 계획입니다.
SK 관계자는 "이번 투자신고는 SK가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글로벌 선도 기업과 긴밀하게 협업해온 것이 결실을 보아 국내 투자 유치 및 한미 경제외교까지 기여한 것"이라며 "이는 최태원 회장이 경영 화두로 제시한 '글로벌 스토리'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최 회장 방미 기간 SK㈜,
SK이노베이션, SK E&S, SK머티리얼즈 등 여러 계열사는 소형모듈원전(SMR), 블루수소(화석연료를 이용해 생산하되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로 제거한 수소) 등 에너지 분야와 관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글로벌 협력 통로 확장에 주력했습니다.
최 회장은 현지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양국 주요 기업인들과 첨단기술동맹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그는 라운드테이블에서 "기술이 곧 안보인 시대에는 안정적 반도체 공급망 구성이 중요하다"며 미시간주에서 추진 중인 차세대 전력반도체용 웨이퍼 공장 건설 투자 등을 소개했다. 테라파워와 2030년까지 SMR 상용화를 추진하는 사례도 언급했습니다.
최 회장은 미국 싱크탱크 관계자들도 만나 한미 경제협력 확대와 공급망 전망 등을 논의하면서 지정학적 경쟁, 기후변화, 에너지 전환 등 국제 환경 급변에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길금희 기자 / golde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