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경기 부진 장기화 여파 속에서 한국의 수출이 7개월 연속 역성장했다. 무역적자도 14개월째 계속됐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4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4월 수출액은 496억2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14.2%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월간 수출은 작년 10월부터 7개월 연속 작년 동월 대비 감소했습니다.
2018년 12월∼2020년 1월 이후 가장 긴 연속 수출 감소입니다.
반도체 수요·가격의 동반 하락 속에서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 수출 부진이 전체 수출 부진을 낳는 큰 흐름이 이달에도 계속 이어졌습니다.
4월 반도체 수출액은 작년 같은 달보다 41.0%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전달(-34.5%)보다 악화했습니다.
작년 동기 대비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작년 8월 이후 9개월 내리 마이너스를 기록 중입니다.
품목별로는 자동차(40.3%), 선박(59.2%) 등의 수출이 늘었지만, 반도체(-41.0%), 디스플
레이(-29.3%) 등 정보기술(IT) 품목, 석유제품(-27.3%), 석유화학(-23.8%), 철강(-10.7%) 등 주력 상품의 수출이 두루 감소했습니다.
작년 4월 수출(578억달러)이 역대 4월 최대치를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도 있었습니다.
지역별로는 반도체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26.5%), 아세안(-26.3%) 등으로의 수출이 감소했습니다.
유럽연합(+9.9%)과 중동(+30.7%)으로의 수출은 늘었습니다.
자동차 수출 급증과 인프라 투자와 관련된 일반기계 등 수출이 늘어난 데 따른 것입니다.
4월 수입액은 522억3천만달러로 작년 동월보다 13.3% 감소했습니다.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원유(-30.1%), 가스(-15.5%) 등 에너지(-25.8%) 수입액이 감소한 데 따른 영향이 컸습니다.
다만 반도체 장비와 수산화리튬 등 이차전지 소재 수입은 증가했습니다.
이로써 4월 무역수지는 26억2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월간 무역수지는 작년 3월 이후 14개월 연속 적자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1995년 1월부터 1997년 5월까지 17개월 연속으로 무역적자가 난 이후로 가장 긴 연속 무역적자입니다.
다만 무역적자는 지난 1월 125억2천만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2월 53억달러, 3월 46억3천만달러, 4월 26억2천만달러를 기록하는 등 점차 감소하며 개선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산업부는 "단기적으로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수출이 증가하거나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는 유망 품목을 발굴해 맞춤형 집중 지원하겠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수출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반도체 등 기술 개발 투자,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 등 정책 지원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길금희 기자 / golde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