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는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4.7% 증가한 37조7천787억 원, 영업이익이 86.3% 늘어난 3조5천927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오늘(25일) 발표했습니다.

현대차의 이번 영업실적은 역대 분기 사상 최대치며, 2분기 연속 최대치를 갱신했습니다.

1분기 판매는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및 기타 부품의 수급 상황이 개선됨에 따라 생산이 늘며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습니다.

현대차는 올 1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102만 1천712대를 판매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13.2% 증가한 수치입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25.6% 증가한 19만 1천47대가 판매됐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전년 동기보다 10.7% 늘어난 83만 665대가 팔렸습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4.7% 증가한 37조 7천787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판매 확대, 제네시스와 SUV 중심의 판매 믹스 개선, 환율 효과로 매출액이 늘었습니다.

1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5.9% 상승한 1천276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 원가율은 전년 동기보다 1.3%포인트 낮아진 79.6%를 나타냈습니다.

판매 관리비는 전년 동기 대비 1.8%포인트 낮아진 10.9%를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판매대수 증가,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 우호적 환율 효과로 전년 동기보다 늘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86.3% 증가한 3조 5천927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역대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영업이익으로, 현대차는 2개 분기 연속 최대 영업이익을 경신했습니다.

아울러 영업이익률은 2013년 3분기(9.7%) 이후 분기 기준 최고인 9.5%를 기록했습니다.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조 5천909억 원, 3조 4천194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반도체 공급 부족 상황이 개선됨에 따라 생산이 확대되고 있으나, 주요 시장의 재고 수준은 여전히 낮아 향후 견조한 대기수요를 바탕으로 판매 증가가 예상된다"라며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와 금리인상 등 경영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요 감소 우려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현대차는 이날 경영실적 발표와 함께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신규 배당 정책 수립 및 분기 배당 실시 발표, 단계적인 자사주 소각 계획이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의 주요 골자입니다.

새로운 배당 정책은 배당 기준이 기존 잉여현금흐름에서 연결 지배주주 순이익으로 변경됐으며, 배당 성향은 연간 연결 지배주주 순이익 기준 25% 이상으로 설정됐습니다.

배당 주기는 기존 연 2회에서 연 4차례로 확대했습니다.

현대차는 향후 3년에 걸쳐 보유 중인 자사주를 매년 1%씩 소각할 계획입니다.

[ 이유진 기자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