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료전 연계 탄소 포집·액화·활용 실증사업 개념도.[사진 SK에코플랜트] |
SK에코플랜트가 새로운 기술을 활용, 연료전지로 전기를 생산하면서 발생하는 소량의 탄소까지 줄이기에 나섭니다.
SK에코플랜트는 한국남부발전 영월빛드림본부 강원도 영월 연료전지 발전소 내 300kW 규모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에서 나오는 탄소를 포집, 액화한 뒤 수요처에서 활용하는 탄소 포집 ·활용(CCU :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과 탄소 포집·액화(CCL : Carbon Capture&Liquefaction) 실증 사업에 착수했다고 오늘(24일) 밝혔습니다.
이번 실증은 국내 최초로 연료전지 전력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배가스(排gas, Flue Gas)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냉각, 액화한 뒤 수요처에서 활용하는 프로젝트이며 오는 2025년 5월까지 약 2년 간 진행될 계획입니다.
SK에코플랜트는 실증사업을 추진, 총괄하며 탄소 포집과 액화를 통한 운송, 활용 등의 설비 투자와 연구개발을 전담합니다.
실증 관련 핵심기술 개발과 인허가 업무는 스타트업 카본밸류가 맡습니다.
카본밸류는 SK에코플랜트가 지난 2021년 개최한 개방형 기술공모전에서 수상했던 기업입니다.
울산과학기술원 탄소중립실증화연구센터는 카본밸류와 함께 원천설계 수준의 엔지니어링 역할을 수행합니다.
조선해양 전문기업 선보유니텍은 탄소 포집과 액화 설비를 설치하고 유지보수를 진행합니다.
남부발전은 영월빛드림본부 연료전지 발전소 내 유휴부지를 비롯해 유틸리티, 연료전지 배가스 등 사업에 필요한 여러 자원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SK에코플랜트를 비롯한 실증 참여기관은 순도 99.9% 이산화탄소를 85% 이상 포집하는 것을 목표로 이번 실증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연료전지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는 농도가 3~4% 수준으로 낮아 포집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증사업에 적용되는 탄소 포집 기술은 압력순환흡착(PSA : Pressure Swing Adsorption) 방식입니다.
오승환 SK에코플랜트 분산에너지사업 담당임원은 "SK에코플랜트는 연료전지와 CCU·CCL이 연계된 에너지 솔루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번 실증사업 검증을 토대로 CCU·CCL와 연료전지 통합 모델 해외 진출 등 우리 정부의 연료전지 수출산업화 목표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 김두현 기자 / kim.doohyeon@mktv.co.kr ]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