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한 내 기지국 추가 구축을 조건으로 정부로부터 5G 28㎓ 대역 회수를 유보 받은
SK텔레콤이 기지국 구축에 나서지 않으면서 통신 3사 모두 5G 28㎓ 주
파수에서 손을 떼게 됐습니다.
3사로부터 할당 취소한 28㎓ 대역을 신규 사업자에 분배해 경쟁이 정체된 통신 시장 '메기'로 활용하려던 정부 계획은 시장 진출에 적극적인 기업이 좀처럼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오늘(2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5월 말까지 5G 28㎓ 기지국 1만 5천 대 추가를 주
파수 할당 취소 유보 조건으로 받았던
SK텔레콤은 지난해 11월부터 해당 대역 기지국을 추가로 구축하지 않고 있습니다.
남은 한 달간
SK텔레콤이 기지국 증설 조건을 이행하기가 물리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실상 통신 3사 모두 5G 28㎓ 주
파수 할당을 포기하는 셈이 됐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 KT와
LG유플러스의 5G 28GHz 주
파수 할당 취소 처분을 확정했습니다.
정부는 2010년 미래창조과학부 시절부터 제4통신사 유치를 7차례 시도했다 실패했지만, 이번에는 휴대전화 자급제 보급, 알뜰폰 점유율 증가 등 달라진 통신 시장 환경에 힘입어 유치 성공을 자신했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플랫폼 사업자, 쿠팡과 토스 등 유통·금융권 신사업자 등이 28㎓ 대역대를 활용한 네트워크 사업에 뛰어들 거라는 기대가 나왔지만, 뚜렷한 진출 의지를 나타내는 기업이 없어 올해 안으로 신규 사업자를 유치하겠다던 정부의 계획이 불투명해질 전망입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