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역대급 호황을 누렸던 국내 정유사들이 위기에 처한 모습입니다.
정유사 핵심 수익성 지표인 정제마진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23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이달 19일 기준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은 2.5달러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정제마진이 2달러대로 내려간 것은 작년 10월 27일(2.46달러) 이후 약 6개월 만입니다.
지난해 정제마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여파로 6월 넷째 주 평균 29.5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
그러다 하반기 들어 갑자기 급락하면서 9월 셋째 주 평균 0달러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올해는 1월 넷째 주 13.5달러까지 회복했는데, 이후 7달러대를 유지하다 이달 들어 흐름이 꺾이고 있습니다.
정제마진이란 최종 석유제품의 가격에서 원유를 포함한 원료비를 뺀 것을 말합니다.
정제마진은 보통 4∼5달러를 이익의 마지노선으로 보는데, 현재처럼 2달러대 정제마진에서는 공장을 돌릴수록 손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국제 유가와 정제마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업계의 우려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의 감산 발표로 국제유가는 우상향하는데, 정제마진은 되레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유가가 오르면 정제마
진도 오르는 게 보통이기에 이는 이례적 상황으로 보입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