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메모리 업황 악화로 올해 1분기 반도체 부문 적자를 낸 데 이어 2분기에는 전체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오늘(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1분기에 손익분기점(BEP)에 근접한 데 이어 2분기에는 전사 기준 적자로 돌아설 수 있다는 전망이 최근 증권가에서 잇다르고 있습니다.
적자를 예상한 증권사들이 추산한
삼성전자 2분기 영업손실 규모는 하이투자증권 1조 2천860억 원, SK증권 6천억 원,
이베스트투자증권 4천억 원,
삼성증권 2천790억 원 등입니다.
삼성전자가 2분기에 적자를 내면 연결 기준 9천400억 원 영업손실을 기록한 2008년 4분기 이후 15년 만입니다.
오는 27일 1분기 확정 실적 공시에 앞서
삼성전자가 이달 초 발표한 1분기 잠정 영업이익은 6천억 원으로 작년 1분기보다 95.75% 급감했습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전방 IT 수요 부진으로 메모리 반도체 업황 한파가 길어지고 재고가 쌓이며 대규모 적자가 현실화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나마 갤럭시 S23 출시 효과로 MX(모바일경험) 부문 실적이 호조를 보여 반도체의 부진을 일부 만회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하지만 반도체 불황의 골이 예상보다 깊어지면서 DS 부문이 2분기에도 1분기 수준의 적자를 이어가고, 1분기에 비교적 선방한 사업도 실적이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글로벌 업계의 감산 움직임에도 인위적 감산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온
삼성전자는 유례없는 대규모 적자에 반도체 감산을 공식화하기도 했습니다.
삼성전자는 1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면서 "공급성이 확보된 제품 중심으로 의미 있는 수준까지 메모리 생산량을 하향 조정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시장은 올해 하반기부터 감산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며 메모리 가격 하락세도 진정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