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동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중남미 국가 제외 가장 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오늘(23일) 공개한 경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노동시간은 1천915시간으로 OECD 36개국 중 4번째로 많습니다.
한국보다 노동시간이 긴 국가는 멕시코, 코스타리카, 칠레 등 3개국으로 모두 중남미 국가들입니다.
OECD 평균은 1천716시간인 가운데, 한국과의 격차는 2008년 440시간에서 2021년 199시간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큰 격차라고 정책처는 지적했습니다.
2021년 기준 한국의 연간 노동시간이 OECD 평균 수준이 되려면 주 평균 노동시간을 3.8시간 줄여야 하는 것으로 계산됐습니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주 평균 노동시간은 1980년 53.9시간에서 지난해 38.3시간으로 29% 감소했습니다.
특히 '주 52시간제'가 시작된 2018년 이후 노동시간은 연평균 2.2% 감소했습니다.
다만 코로나19의 여파가 줄어든 올해부터는 노동시간의 감소 폭이 둔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6일 '주 52시간제'의 기본 틀은 유지하되 연장근로 단위를 '주' 외에 '월·분기·반기·연'으로도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노동시간 제도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장시간 노동'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노동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개편안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