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손해보험업계의 운전자보험 상품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변호사선임비용의 보장 금액과 범위를 강화하는 모습인데요.
하지만 금융당국은 지나친 상품경쟁이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염두해 보장 한도를 조정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김우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지난해 11월 변호사 선임비용을 경찰조사 단계에서도 보장하는 운전자보험 특약을 처음으로 공개한 DB손해보험.

상품의 독창성을 인정받아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해 독점 판매했고 올해 1월 기간이 만료됐습니다.

이에 손해보험업계에서는 변호사선임비용의 보장폭과 금액을 강화한 신상품들을 잇달아 출시하고 있습니다.

농협손해보험은 비대면 전용 운전자보험을 출시했는데, 변호사선임비용 보장을 경찰조사까지 확대했고,

한화손해보험은 변호사 선임비 보장폭 뿐만이 아니라 금액까지 늘린 신상품을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손보업계가 운전자보험 상품군을 강화하는 사정에는 신규 회계제도인 IFRS17도입이 있습니다.

계약 서비스 마진의 의무 공시화로 장기보험을 판매하는 것이 재무제표 수익성 지표에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험소비자들의 신규 구매 역시 꾸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설계사에 의한 운전자 보험 신규 가입은 지난 3년간 꾸준히 250만 건 이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2020년의 경우 약 354만 건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0년 민식이법 도입으로 인해, 운전자 안전 사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 인터뷰(☎) : 손해보험업계 관계자
- "민식이법과 도로 우회전 같이 운전자의 책임을 강화하는 이런 추세가 지속되다 보니까 아무래도 운전자 보험 가입을 통해 그런 사고에 대한 리스크를 조금 덜고자 하는 수요가 좀 있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다만 금융당국은 손보업계의 변호사선임비용 보장 강화 행렬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10일국내 손보사들에게, 오늘(17일)부터 판매하는 운전자보험의 변호사선임비용 보험금은 5천만원이 적정하다는 권고를 내렸습니다.

경쟁적인 보험금 인상이 자칫 허위 비용 신고와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염려한 조치입니다.

하지만 장기보험 상품들이 대부분 시장 포화상황인 것을 감안할 때, 이후 손보업계의 운전자 보험 내부 특약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매일경제TV 김우연입니다.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