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8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오늘(16일) 세계무역기구와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수출액은 24조 9천44억 8천900만 달러이며, 이 가운데 한국의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74%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지난 2020년 2.90%에서 2021년 2.88%로 떨어진 데 이어 2년 연속 하락한 것입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수출 점유율이 0.1%포인트 하락할 때 약 14만 개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등 경제 전반에 걸쳐 악영향을 받게 됩니다.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2014년 처음으로 3%를 넘은 이후 2018년까지 5년 연속 3%대를 기록했으나, 코로나19 위기가 발생한 2019년부터 4년 연속 2%대에 머물렀습니다.

특히 지난해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에 의해 세계적인 경기 침체를 겪었던 2008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2018년부터 미·중 무역 전쟁으로 자국 중심주의와 보호 무역이 확산된 가운데,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이 같은 기조가 강화되면서 한국이 직격탄을 맞은 것입니다.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하락한 데는 외부 요인뿐 아니라 내부 요인도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조상현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그간 메모리반도체 호황에 안주하며 수출 주력 업종 변화에 소홀해 수출 산업의 경쟁력과 역동성이 뒷걸음질 친 측면이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한국 경제를 지탱하는 수출이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수출보다 수입이 많은 무역적자 행진이 13개월째 이어졌습니다.

무역적자 규모는 지난해 477억 8천400만 달러로 연간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들어 3월까지 224억 1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이미 지난해의 46.9%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조 원장은 "중간재 수출 감소와 에너지 수입 증가라는 연쇄 고리를 중장기적으로 수출 품목 다변화와 고급화로 끊어내려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 손효정 기자 / son.hyojeo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