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산유국들의 추가 감산 발표에 따른 인플
레이션 우려를 소화하는 한편, 미국 제조업 지표가 부진하게 나오면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27.00포인트(0.98%) 상승한 33,601.15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5.20포인트(0.37%) 상승한 4,124.51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2.45포인트(0.27%) 하락한 12,189.45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 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소속 산유국들은 지난 2일 다음달부터 하루 100만
배럴 이상 원유 생산을 줄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브렌트유 가격은 6% 이상 급등해 1년 만에 가장 큰 하루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유가가 오르면서 뉴욕증시에서 에너지 관련주들이 호조를 보였습니다.
셰브론은 주가가 4% 이상 올랐고, 엑슨모빌 주가는 5.9%대 급등했습니다.
전기차 관련 종목들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테슬라 주가는 6% 이상 내렸습니다.
테슬라의 지난 1분기 차량 인도량이 가격 인하에도 불구하고 월가의 예상을 소폭 하회했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리비안 오토모니브 역시 주가가 1% 이상 내렸습니다.
리비안은 전분기보다 인도량과 생산이 모두 줄어들면서 주가가 약세를 보였습니다.
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
레이션 우려도 더욱 커졌습니다.
이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경로가 더 높은 수준에서 오래 지속될 가능성에 힘이 실렸습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이날 한 인터뷰에서 "OPEC의 이번 결정은 놀라운 일이지만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라며 "유가는 변동이 심해 따라잡기 어렵지만 일부가 인플
레이션이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는 연준의 일을 좀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SYZ프라이빗뱅킹의 루크 필립 투자 책임자는 "인플
레이션과의 싸움은 끝나지 않았다"며 "에너지 가격으로 인해 인플
레이션이 다시 반등하기 시작하면 중앙은행에는 좋은 시나리오가 아닐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날 미국 제조업 지표가 부진하게 나오면서 증시 상승세는 제한됐습니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6.3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2020년 5월 이후 거의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이 집계하는 3월 제조업 PMI도 49.2로 위축 국면에 머물렀습니다.
미국의 2월 건설지출은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보다 0.1% 감소하며 월가의 예상치를 하회했습니다.
업종 지수 별로 보면 에너지 지수가 4% 이상 급격히 올랐습니다.
헬스, 소재, 통신 관련 지수도 상승했으나 반면, 임의 소비재와 부동산, 유틸리티 관련 지수는 하락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5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47.0%로 반영됐습니다.
연준이 5월에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53.0%로 나타났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15포인트(0.80%) 하락한 18.55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매일경제TV 황주윤입니다. [ june@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