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은행위기 진정될까
Q. 미국발 은행위기 진정될까?
A. 미국 시장은 진정되는 조짐, 주가 상승
A. 금융시장 진정의 이면에는 국채 금리 안정
A. 시장 직접개입과 은행기간대출프로그램(BTFP)
A. 연준 자산, SVB 사태 후 4,000억 달러 증가
Q. 연준의 베이비스텝이 불안해 보이는 이유는?
A. 금리 올리면서 시중에 돈을 푸는 이중적인 행태
A. 단기금리 상단 연5%↑ 장기금리는 3월 들어 하락
A. 두 가지의 모순된 정책이 오래 진행될 수는 없음
A. 시장에 주는 시그널도 혼란스러울 전망
Q. 대차대조표로 본 은행위기의 본질은?
A. 예금 인출 발생시 현금-채권-대출 순
A. 급격한 예금 인출 발생시 유동성 확보 불가능
A. SVB의 경우 하루에 48조원 인출 발생
A. 과거 은행의 위기는 신용위험에서 발생(자산의 부실화)
A. 이번에는 “유동성 위기로 은행 파산할 수 있다”
Q. 슬로모션 은행 위기 경고…내용은?
A. ‘슬로모션’은 천천히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
A. 최근 은행위기로 예금자들의 학습효과 발생
A. 모바일 뱅킹과 SNS의 발달로 예금 인출 속도 증가
A. 금리 인상 지속시 SVB 사태 언제든지 발생 가능
A. 예금자 불신→은행예금 인출→은행자산 감소
Q. 미국발 은행위기, 우리 경제 영향은?
A. 선진국 은행위기, 신
흥국으로까지 파급되지 않음
A. 선진국, 신
흥국 채권매각 통해 자금 마련 가능성
A.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신
흥국은 위기에 빠질 수도
A. 한국은 선진국과 거의 비슷하게 움직임
A. 은행위기의 내성 강해졌다는 의미
A. 위기 발생 시 정책의 룸이 줄었다는 의미
노영우 매일경제 국제경제전문기자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