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금융당국이 상생금융을 강조하면서, 시중은행들도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대출 금리를 내리고 취약계층의 연체금 상환도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보도의 김우연 기자입니다.
【 기자 】
금융당국은 지난해부터 고금리와 고물가 상황에서 은행권의 공적 책임을 강조해왔습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달 23일부터 시중은행들을 각각 방문해 상생금융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에 시중은행업계는 대출 금리를 낮추고, 연체가 많은 금융취약계층을 직접 지원하는 계획을 잇따라 발표했습니다.
우리금융지주 임종룡회장은 지난달 30일 고객에게 연간 2천억 원 규모의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을 공개했고,
하나은행은 서민 금융상품의 신규 취급 금리를 최대 1%포인트 인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방안도 공개됐습니다.
KB국민은행은 약 1만 5천여 곳의 기업이 연간 400억 원의 이자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중소기업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했습니다.
신한은행은 정부와 공공기관으로부터 이자 일부를 지원받는 이차보전 대출을 이용하는 중소기업들의 대출 기간을 연장해 상환 이자를 줄이겠다는 방침입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고금리 상황으로 2022년 대출 연체액과 연체율은 모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연체액은 전년대비 54.7% 증가한 1조 2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고금리 상황에서 이자부담이 커지면서, 대출상환이 제때 이뤄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의미합니다.
전문가들은 시장왜곡이 일어나지 않는 선에서 취약계층을 위한 대출금리 감독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 인터뷰(☎) : 성태윤 /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대형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예대 금리 스프레드가 확대되는 등 금융 소비자들이 취약도를 높일 수 있는 부분을 줄여나가기 위한 노력은 필요하고요. 또한 그 과정에서 금융 소비자들 자체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 역시 함께 마련함으로써 금융 시스템의 건전화를 취해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번 대규모 지원방안들이 고금리 고물가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금융소비자들의 부담을 덜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김우연입니다.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