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경우 학교폭력 피해를 알려도 해결이 안되거나 소용이 없을 것 같아서 신고하지 않는다는 응답 비율이 초·중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일) 교육부의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자료를 살펴보면 최근 5년간(2018∼2022년) 학교폭력 피해를 겪은 뒤 어디에도 알리지 않았다는 응답 비율은 2018년 19.1%에서 2022년 9.2%로 낮아졌습니다.
피해를 신고하지 않은 이유로는 ▲ 이야기해도 소용없을 것 같아서 ▲ 스스로 해결하려고 ▲ 별일 아니라고 생각해서 등이 꼽혔습니다.
다만, 이런 답변 양상은 학교급별로 다소 차이 가 있었습니다.
초등학생의 경우 2019년 조사에서 '스스로 해결하려고'라는 응답 비율이 25.6%로 가장 높았고, 2018년과 2020∼2022년 등 4개년 내내 '별일 아니라고 생각해서'라는 응답 비율이 제일 높았습니다.
중학생 역시 5개년 모두 '별일 아니라고 생각해서'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에 비해 고등학생의 경우 2018·2019년에는 '해결이 안 될 것 같아서'라는 응답이 각 25.3%와 30.9%로 1위였고, 2020년·2021년에는 '이야기해도 소용없을 것 같아서'가 35.2%와 29.7%로 1위였습니다.
미신고 이유 선택지 중 '해결이 안 될 것 같아서'는 2020년 조사부터 '이야기해도 소용이 없을 것 같아서'로 바뀌었기 때문에 사실상 같은 응답입니다.
2022년 조사에서는 고교생 역시 '별일 아니라고 생각해서' 신고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29.0%였지만 '이야기해도 소용이 없을 것 같아서'가 27.1%로 비슷한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