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공원 등에 위치한 공중화장실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세이프메이트 범죄예방 솔루션을 적용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에 의하면 오는 7월부터는 비상벨 설치가 의무화됩니다.

이에 전국의 지자체가 비상벨의 설치 및 점검에 나서며 범죄예방 솔루션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KT는 국내에서 가장 오랜 기간 동안 가장 많은 공중화장실 범죄예방을 위한 솔루션을 운영해온 노하우를 보유한 사업자입니다.

지난 2016년 7월 서울 이태원 공중화장실을 시작으로 7년간 전국 210개 공공기관 등의 공중화장실 약 6천 여 개소에 KT 세이프메이트 범죄예방 솔루션을 적용해 강력 범죄를 예방해오고 있습니다.

KT 세이프메이트 범죄예방 솔루션은 AI를 기반으로 비상벨을 누르는 것은 물론 긴급한 상황으로 누를 수 없을 때도 비명소리와 '사람 살려', '도와주세요' 등 구조요청 발화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경찰이나 현장 담당자 등이 신속한 구조활동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KT는 오작동과 고장으로 방치되며 소위 '먹통벨'로 불리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부터 유지보수까지 책임지고 있습니다.

또한 경기도 과천에 위치한 통합관제센터에서 자가진단 및 관제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장비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등 시스템 관제와 고객 응대를 365일 24시간 운영하는 등 범죄예방을 위한 종합 인프라를 구축했습니다.

KT 세이프메이트 범죄예방 솔루션은 지난 2016년 제1회 대한민국 범죄예방 대상 시상식에서 기업사회공헌 부문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KT DX플랫폼사업본부장 김영식 상무는 "KT는 오는 7월 공중화장실 비상벨 설치 의무화 시행과 함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해 보유 플랫폼과 솔루션을 적극 활용하겠다"며 "앞으로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다양한 안전 DX 서비스를 개발해 ESG 경영을 실천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KT는 전통시장 대형화재예방, 산업현장 중대재해예방을 위해 다양한 안전DX(Digital Transformation) 솔루션을 제공해오고 있으며, KT 세이프메이트 화재예방 솔루션은 108개 전통시장, 1만1천개 점포에 설치되어 대형 화재를 예방한 바 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