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오늘(30일) "제약 주권 확립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고 제약·바이오 산업의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각 부처 정책을 총괄해 조율하는 국무총리 직속의 컨트롤타워를 조속히 설치·가동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원 회장은 이날 서초구 방배동 협회 강당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 차원의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산업 현장에서 체감이 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면 퀀텀 점프할 수 있는 시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지난해 우리나라는 세계 세 번째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모두 개발하고 세계보건기구(WHO)가 세계 유일의 바이오 인력 양성 허브로 지정하는 등 성과를 냈지만, 제약 주권의 핵심 지표인 의약품 자급률은 원료의약품의 경우 2021년 기준 24.4%에 불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의약품 자급률을 높여 제약 주권을 확보하고 블록버스터 신약이 개발되려면 약가 제도 등 불합리한 규제를 이른 시일 내 혁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협회에 따르면 세계 의약품 시장은 지난해 1천630조 원에서 연평균 6% 규모로 성장해 2028년 2천307조 원 규모가 예상됩니다.

그러나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비중은 지난해 기준 1.5% 정도입니다.

원 회장은 "국내 기업은 매출에 대한 영업이익률이 6~7% 정도인데 실질적으로 연구개발 투자 규모는 10% 이상"이라며 "약가를 무조건 올려달라는 게 아니라 유일한 캐시카우가 약가이므로 다양한 상황을 감안해서 약가를 정하자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약가 보상체계를 혁신하면 기업이 연구개발에 드는 비용을 마련할 수 있어 신약 개발 동기가 부여된다는 것입니다.

미국은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예산 14조 원을 지원했다고도 설명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년간 4천127억 원을 지원했습니다.

아울러 바이오펀드 규모를 1조 원대로 확대하고 최종 임상까지 완료할 수 있도록 운용할 것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협회도 산업 발전을 위해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등 디지털화·융복합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제약사와 연계한 오픈 이노베이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유통 판로 확대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원 회장은 6년간 회장 임기를 마치는 소회를 묻 자 "불과 몇 년 사이에 업계 분위기가 연구개발로 (중심이) 가야 한다고 바뀌었다"며 AI 센터 등 협회 사업이 앞으로 계속 진행될 거라고 했습니다.

[ 길금희 기자 / golde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