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한계기업 비중이 지속해서 증가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충격으로 인한 단기 부실 위험 기업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업연구원은 6일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을 위한 한계기업 정상화 과제와 정책시사점'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새롭게 한계기업 징후(이자보상배율 1 미만)를 보이는 제조업 상장기업은 211개로, 직전 5년간 연평균 약 155개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전부터 제조업 부문의 한계기업 비중은 지속해서 증가해 2011년 5.0%에서 2019년 11.9%로 배 이상 늘었습니다.

특히 시장에서 퇴출당하지 않고 9년 이상 한계기업 상태로 존속 중인 장기한계기업도 2009년 34개에서 2019년 164개로 증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충격으로 단기 부실 위험에 빠진 기업이 늘었고, 이들 기업 중 일부가 한계기업으로 전환할 압력도 커졌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산업별로 한계기업 비중을 보면 조선·철도·항공 등 관련 제조업(기타운송장비 제조업)이 2019년 기준 25.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 21.1%, 섬유제조업 18.1%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9년 이상 장기한계기업 비중은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이 약 6.2%로 가장 높았습니다.

한계기업은 특정 산업에서 집중적으로 관찰됐고, 소규모의 오래된 기업으로 낮은 수익성과 높은 타인자본 의존도를 보이는 경우 한계기업 가능성이 높았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보고서는 "한계기업이 장기간 시장에 잔존하는 것은 자원배분의 비효율성을 높인다"면서 "적극적인 기업 정상화와 부실화 방지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계기업 정상화를 위해선 기업 단위의 구조조정 촉진 정책이 필요하며, 금융지원 정책도 산업 특성에 따라 차별화해 운용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