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려묘. |
국내에서 4가구 중 1가구꼴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지난해 반려동물용 사료 등 펫푸드 수출액은 전년보다 약 84% 증가하며 수출 효자 품목으로 떠올랐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오늘(3일) 펫푸드 생산·출하 실적, 수출입 현황, 유통과 판매구조, 소비자 동향 등을 담은 '펫푸드 시장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2019년 기준 반려가구는 전체 가구의 26.4%인 591만 가구로 추정됐습니다.
반려동물 종류는 개 83.9%, 고양이 32.8%, 어류·열대어 2.2% 순이었습니다.
펫푸드 생산량은 2019년10만9천781t(톤)으로 전년보다 16.4% 증가했습니다.
이중 반려견 사료는 6만3천956t, 반려묘 사료는 4만5천784t으로 각각 5.3%, 36.5% 늘었다.
보고서는 "모든 종류의 반려동물 사료 생산량이 증가한 가운데 반려묘 사료가 최근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1인 가구 증가로 상대적으로 관리가 용이한 반려묘를 양육하는 가정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펫푸드 수출액은 6천749만 달러(한화 약 752억 원)로 전년도인 2019년보다 83.5% 증가했습니다.
국내 주요 제조사가 제조공장을 증축하고 본격적으로 국내외 시장 진출에 나서면서 2019년부터 일본과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 실적이 크게 개선됐습니다.
국가별 펫푸드 수출액은 일본이 2천455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 중 가장 많은 36.4%를 차지했고, 태국 1천780만 달러(26.4%), 베트남 568만 달러(8.4%)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2억7천73만 달러로 11.9% 늘었습니다.
소비자 8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펫푸드를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43.9%가 '반려동물의 기호도(잘 먹는지 여부)'를 꼽았습니다.
이어 '가격'(9.3%), '청결 관리 용이성'(8.9%), '브랜드'(7.5%), '구입 및 주문 편리성'(7.5%), '전문가 추천'(6.9%) 순이었습니다.
주요 구입경로는 오픈마켓 21.6%, 소셜커머스 16.0%, 대형 할인마트 12.7%, 온라인 반려동물 전문몰 11.1%, 반려동물용품 전문매장(펫샵) 9.9%로 집계됐습니다.
보고서는 "펫푸드 시장은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대하는 '펫 휴머니제이션' 현상 속에 빠르게 성장했다"며 "연령과 종에 따라 영양 구성이 다른 맞춤형 제품, 반려동물 질환 관리를 위한 기능성 제품, 건강과 영양을 고려한 건강식 등 프리미엄 제품을 찾는 반려가구가 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 신민호 인턴기자 / mino@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