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음식점들은 전반적으로 타격을 받았지만 배달 비중이 높은 음식점은 오히려 매출이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외식업중앙회를 비롯한 16개 협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음식서비스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는 '2020년 음식서비스 분야 산업인력 현황'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는 코로나19 2차 유행기인 지난해 8월 17~31일 한식·일식·중식·서양식·치킨전문점·유사음식점(피자·햄버거 판매점) 등 6개 업종의 300개 외식업체를 대면 조사해 분석한 결과입니다.

오늘(18일)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외식업체의 작년 월평균 매출은 2천736만 원으로 전년보다 16.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배달을 전혀 하지 않는 외식업체는 월평균 매출이 2천616만 원으로 31.2% 줄어 감소 폭이 평균치의 거의 두 배였습니다.

또 매출 기준으로 배달 비중이 1~49%인 외식업체는 월평균 매출이 2천303만 원으로 17.9% 줄었습니다.

반면, 배달만 하는 외식업체는 월평균 매출이 1천864만 원으로 11.0% 늘었고 배달 비중이 90~99%인 외식업체는 5.0% 증가했습니다.

배달 비중이 50~89%인 외식업체도 2.8% 늘었습니다.

[ 김예솔 인턴기자 / yesol@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