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12개국을 상대로 서한 통보를 예고하면서 한국과 함께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미 핵심 교역국인 일본과 인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당초 두 나라는 미국과 가장 원만하고 신속하게 무역협정을 체결할 가능성이 조명되면서 한국 협상팀도 참조해야 할 교본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들 국가의 핵심 이익이 걸린 자동차 관세에서 양보 불가 입장을 천명하면서 협상 전반이 교착되는 상황에 직면했다.
최근까지 7차 고위급 협상을 마치며 주요국 협상단 중 가장 신속한 행보를 보인 일본은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자동차 품목관세 입장 때문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일본 협상단은 도요타, 혼다 등 자국 기업 이익을 위해 미국을 상대로 25%에 이르는 자동차 및 차부품 관련 관세를 재검토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절대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급기야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일본을 겨냥해 "매우 잘못 길들여졌다(spoiled)"는 굴욕적 표현까지 던지며 자동차 관세에 불만을 제기하는 일본에 정면 경고했다.
일본 협상단 대표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도 최근 방미 과정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만나주지 않아 빈손으로 귀국하는 등 굴욕을 맛봤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6일 NHK에 출연해 "동맹국이라도 할 말은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과 무역 협상이 술술 풀릴 것으로 기대됐던 인도 역시 자동차 품목관세 문제로 충돌하며 최근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을 상대로 보복관세를 부과할 수 있음을 통보했다.
5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WTO에 보낸 공식 통지문을 통해 미국이 수입차와 수입 자동차부품에 부과한 25% 관세가 자국 수출에 4조원에 육박하는 손해를 끼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도는 이에 상응한 보복 조치를 언급하면서도 구체적인 관세율이나 관세를 부과할 품목은 명시하지 않았다.
인도가 자동차부품 관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자국 제조업 육성 정책에 중대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재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