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상호관세 유예 종료 앞두고 막판 협상…정부, 관세 유예 연장 모색

[사진=챗GPT 생성 이미지]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오는 8일)을 앞두고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막판 협상에 돌입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5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관세 협상을 벌일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이번 협의를 통해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구축 의지를 강조하고, 미국 측의 비관세장벽 철폐 요구와 무역수지 균형 등에 대한 구체적 입장을 담은 협상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이는 4월부터 이어진 실무협의와 장관급 협의에서 제기된 미국의 요구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상호관세 유예 연장을 통해 추가 협상 시간을 확보하는 데도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여 본부장은 출국 전 "무리하게 시한에 쫓기기보다는 내실을 기하는 것이 국익에 부합한다"며 "필요하면 상호관세 유예를 통해 윈-윈 협상 결과를 만들자"고 밝혔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4일부터 각국에 상호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을 발송하겠다고 밝히며, "돈이 미국에 8월 1일에 들어오기 시작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실질적인 상호관세 발효 시점을 9일이 아닌 8월 1일로 설정한 것으로, 공식 유예 연장 없이도 협상 시간을 확보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일부 국가에는 최대 60~70%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지난 4월 2일 책정된 최고 세율 50%(레소토), 한국 대상 25%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율 통보를 통해 압박 수위를 높이는 동시에 7월 31일까지 최종 협상의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풀이됩니다.

산업부는 여 본부장의 귀국 시점을 명시하지 않았으며, 이는 현지 상황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조치로 보입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