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폭염이 계속되는 가운데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에펠탑 위로 태양이 비치고 있다. [AP = 연합뉴스] |
폭염 기간 중 프랑스 파리의 상징물 중 하나인 에펠탑에 약 20cm가량의 변형이 생길 수 있다고 일간 르파리지앵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철골 구조물인 에펠탑은 하루 동안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여러 각도에서 다소 휘어지게 된다.
프랑스 역사학자이자 건축가인 베르트랑 르모안은 과거 한 매체 인터뷰에서 “이는
태양에 노출된 한쪽 면이 팽창하고, 그늘에 있는 다른 쪽은 수축하기 때문”이라며 “
태양 쪽으로 향한 부분이 더 팽창하기 때문에 탑이 휘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것은 체감하기 어려울 정도로 미묘하고 점진적”이라며 밤이 되면 기온이 떨어지면서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고 설명했다.
이런 현상은 열팽창으로, 압력이 일정할 때 물체의 부피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고, 온도가 내려가면 줄어든다.
 |
에펠탑. [사진 = 연합뉴스] |
에펠탑의 경우 열에 매우 민감한 철강으로 만들어져 겨울엔 여름과 반대로 최대 10㎝가 줄어들 수 있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한편, 서유럽에 연일 폭염과 고온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프랑스 96개 권역 중 84곳에 폭염 경보가 내려졌고, 파리의 온도는 섭씨 33이지만 체감 온도는 이보다 더 높은 38도에 이르는 것으로 관측됐다.
프랑스 기상청은 이번 주 중반까지 곳에 따라 40도를 넘는 폭염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1일은 파리 등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16개 지역의 경보 단계를 주황색에서 적색으로 상향했다.
이번 폭염은 이탈리아에서 스페인, 포르투갈까지 남유럽 전역을 덮쳤다.
스페인에서는 지난 28일 오후 안달루시아 지방의 우엘바 기온이 46.2도까지 치솟아 6월 신기록을 경신했다고 스페인 기상청이 밝혔다.
그동안 6월 최고기온은 1965년 세비야에서 기록된 45.2도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