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오는 2030년까지 추진하고 있는 온실가스 저감 및 폐기물 재활용률 목표를 향해 순항하고 있다.
LG전자가 30일 발간한 ‘2024-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서 배출한 직접(Scope1) 온실가스와 간접(Scope2) 온실가스는 총 91만t으로 집계됐다.
2030년 배출량 목표치인 87.8만t에 근접한 수치다.
앞서
LG전자는 2030년까지 2017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54.6%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생산 공정 내 에너지 고효율 설비 도입 및 재생 전력 전환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LG전자는 AI, 코어테크 등 고효율 기술을 확대하며 제품 사용단계(Scope3) 온실가스 저감에서도 목표 달성에 가까워졌다.
지난해
LG전자 7대 주요제품 사용단계 탄소배출량은 지난 2020년 대비 19.4% 줄었다.
앞서
LG전자는 국내 가전업계 최초로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의 검증을 받아 2030년까지 7대 주요제품 사용단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 대비 20%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자원순환 노력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LG전자 국내외 사업장 폐기물 재활용률은 지난해 97.4%로 2030년 목표(95%)를 초과 달성했다.
지난해 56개국 91개 지역에서 회수한 폐전자제품의 양은 53만2630t으로, 2006년부터 누적 회수량은 500만t을 넘어섰다.
지난해 재활용플라스틱 사용량 역시 직전 년도 대비 36% 늘었다.
제품과 서비스 접근성도 지속 강화하고 있다.
성별, 나이, 장애 유무에 상관없이 가전을 손쉽게 사용하도록 돕는 ‘LG 컴포트 키트’는 14종까지 늘어났다.
올레드 TV에 탑재된 ‘음성으로 메뉴 읽어주기’, ‘보청기·스피커 동시듣기’ 기능이나 높낮이 조절 및 촉각 키패드를 적용한 키오스크 신제품이 대표적이다.
서비스 측면에서는 ▲장애인 케어 ▲수어 상담 ▲시니어 전용 상담 및 매장 내 안전∙IT∙문화강좌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 중이다.
LG전자는 준법과 윤리경영을 최우선으로 두고 전문성과 독립성, 투명성을 갖춘 이사회를 중심으로 책임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특히 이사회 산하 E
SG(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의 역할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그 결과
LG전자는 S&P글로벌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
CSA)’에서 2년 연속 최상위 등급에, 글로벌 E
SG 평가기관 MSCI 평가에서는 5년 연속 A등급을 받고 있다.
다우존스 ‘베스트 인 클래스 월드 인덱스’에는 13년 연속 편입됐다.
LG전자는 2006년부터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LG전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